연준, 11월 FOMC에서도 스몰컷 단행
"금리 격차 줄어들었는데" 트럼프 당선 후 원·달러 환율 치솟아
환율에 주목하는 한은, 11월 금융통화위원회 향방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0.25%p 인하했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가 좁혀짐에 따라 한국은행의 운신 폭이 넓어진 가운데, 시장에서는 한은이 이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사실상 작다는 평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후보가 제47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치솟은 영향이다.
중국 합작법인 PZSS 매각 결정
철강 감산 기조에 투자자 물색 난항
성장 정체 극복 카드는 ‘인도’
중국 철강 시장이 기나긴 한파를 지나는 가운데 포스코가 시장 철수에 나선다. 1997년 중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현지에 설립한 스테인리스강 공장을 매각하면서다. 적자 사업 매각 등 포스코의 사업 재편이 속도를 높였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포스코는 인도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 모습이다.
ECB, 유로존 경제 성장 두고 비관적 시각 드러내
유럽 최대 경제국 독일, 우크라이나 전쟁 등 영향으로 내수 위축
주요 성장 엔진 제조업·수출도 중국에 밀려 '휘청'
유럽중앙은행(ECB)이 유로존의 미래 성장에 대한 비관적 전망을 제시했다. 유로존 내 핵심 제조업 강국인 독일이 침체 기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유로존의 전반적인 경제 성장 동력이 약화하는 양상이다.
2022년 11월 이후 최고 수준
수출 증대 등 긍정적 효과 미미
주변국 화폐 가치 하락도 변수
원·달러 환율이 1,400원에 육박하며 불과 한 달 전과 비교해 80원이 올랐다. 백악관 재입성을 앞둔 ‘트럼프 효과’로 풀이되는 가운데, 수출 등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진다.
내년 상반기까지 긴축 완화 기조 유지 전망
10월 ‘고용 쇼크’도 금리 인하 부추겨
“독립적 연준, 정치 영향 받을 수밖에”
연내 미국 기준금리 추가 인하가 확실시된 가운데 그 속도와 인하 폭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해외 주요 투자은행(IB)들은 올해 두 차례 남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모두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장에서는 미국 내 고용 둔화와 대선 결과가 금리 인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는 모양새다.
퀄컴, 자체 IP로 설계한 CPU 탑재하며 ARM과 갈등 격화
ARM, 퀄컴에 라이선스 취소 통보, 퀄컴 “근거 없는 주장”
화웨이, 상하이에 초대형 R&D캠퍼스 건립
구글 본사보다 10배 이상 큰 규모
미국의 기술 제재에 중국 '기술 자립화' 안간힘
중국 화웨이가 상하이에 미국 알파벳 본사 10배에 달하는 대규모 연구·개발(R&D) 캠퍼스를 짓고 글로벌 인재 영입에 나섰다. 미국의 대중국 제재에 맞서 첨단산업 기술 자립에 속도를 내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인도로 몰리는 글로벌 빅테크들
엔비디아, 인도 AI 시장 공략 본격화
인도 최고 재벌과 '블랙웰 AI 허브 구축'
엔비디아가 릴라이언스와 타타 등 인도 굴지의 대기업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엔비디아가 성장 잠재력이 큰 것으로 평가되는 인도의 인공지능(AI)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3분기 성장률 4.6%, 올해 목표 5% 달성 적신호
올해 7월에 이어 3개월 만에 대출우대금리 인하
지난달 24일 경기부양책 이어 유동성 공급 강화
중국이 올해 목표한 5% 성장률 달성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 가운데, 중국인민은행이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7월 이후 3개월 만이자 올해 들어 세 번째 금리 인하다. 이는 지난달 발표한 대규모 경기부양책에 이은 후속 조치로 대출금리를 낮춰 유동성 공급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러-우 전쟁 종결 가까워지며 공사비 상승세 꺾여
철근·시멘트 등 주요 자재비 상승세 정점 찍었다는 평도
주요 건설사 원가율 90%대 초반 유지
상승세를 보이던 건설공사비 오름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공공사업과 민간 재건축, 재개발 공사비 분쟁이 줄어들 수 있을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업계에선 공사비 상승의 주요 요인인 원자재 가격 오름세가 둔화하고 있는 만큼 당분간 공사비 급등이나 급락은 줄어들고 현재의 수준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일부 위원이 0.25%p 인하 선호했다" 9월 FOMC 의사록 공개
점진적 금리 인하 점치는 시장, 일각서는 동결 전망도
연준의 매파적 태도, 한은 10월 금리 인하에 영향 미칠까
시장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통해 FOMC 구성원 중 일부가 베이비컷(기준금리 0.25%p 인하)을 주장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역시 최근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발언을 내놓으며 점진적 금리 인하를 시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獨, 올해 성장률 전망 -0.2%로 하향,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
제조업 성공 모델에 안주한 독일, 디지털 전환에도 실패
中 경제 부진·러-우戰·인플레·고령화 등 겹악재까지
한때 ‘유럽의 엔진’이라 불리던 독일 경제가 심상치 않다. 제조업과 수출 기반이 탄탄했던 경제가 디지털 경제 시대에 힘을 잃고 저성장의 늪에 빠졌다. 선진국 중 유일하게 역성장을 맞은 독일의 경기 침체가 장기화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독일이 다시 '유럽의 병자(Sick man of Europe)'로 전락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과거 강점이었던 수출 중심 경제 모델이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와 지정학적 불확실성 속에서 약점으로 작용한 결과다.
Pagination
- First page
- Previous page
- …
- 2
- 3
- 4
- 5
- 6
- …
- Next page
- 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