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美 재정적자, 다른 나라의 정부 부채와 환율에 영향
中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 7.6%, 신흥국 2배 수준
뉴욕증시, 금리 인하 멀어지자 줄줄이 하락
고금리 유지에 미국 상업용 부동산 부실 위험↑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금리 내릴 때 아냐"
STANDARDPOORS_FE_20240418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를 비롯한 뉴욕증시가 4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무너지면서 고금리 우려가 시장을 압박한 결과다. 좀처럼 꺾이지 않는 고금리 기조에 수년간 채권 만기가 줄줄이 예고돼 있는 미국 상업용 부동산의 부실 위험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금리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상업용 부동산에 청신호가 들어올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분석한다.

ASML, 지난 1분기 매출 27%·순이익 40% 감소
"지금은 내후년 위한 조정기" ASML의 자신감
해소되지 않는 중동발 반도체 공급망 리스크
asml_FE_20240418

반도체 핵심 장비 제조사인 네덜란드 ASML이 부진한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지난 분기 수주액이 61% 급감하며 매출과 순이익이 줄줄이 곤두박질친 것이다. 반도체 업황 침체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던 ASML의 성적이 시장 기대를 밑돌자, 여타 반도체 업체 주가 역시 줄줄이 미끄러지는 추세다.

예상 뛰어넘은 고물가 지표에 '연내 3회 인하' 입장 선회
파월 발언에 달러화 최강세, 2년물 국채 금리 5% 넘기도
원·달러 환율 한때 1,400원 돌파, 금리 인하도 불투명
Jerome_Powell_Fed_FE_20240417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기준금리 인하 연기를 시사했다. 미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최근 석 달간 물가 지표마저 예상을 크게 웃돌자 기존의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입장으로 선회한 것이다. 파월 의장의 발언에 미국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5% 선을 돌파했고, 달러는 더욱 강세를 나타냈다. 이에 당초 7~8월로 예상됐던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도 불확실성이 커졌다.

노동도 소비도 호조, 긴축 기조 속 '봄날' 맞이한 미국
시장은 차후 수출 감소·소비 위축 리스크에 주목
대규모 만기 도래하는 CRE, 금융권 덮친 부실 위험
usa_up_20240417

긴축 기조의 영향으로 대부분 국가가 경기 침체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미국 경제가 '나 홀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하고 있음에도 불구, 노동 시장·소비 등이 강세를 이어가며 탄탄한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시장 일각에서는 이 같은 호황이 장기간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고금리 기조 장기화, 상업용 부동산 리스크 등 악재가 쌓이고 있는 만큼, 미국 경제 역시 조만간 아슬아슬한 '외줄타기'를 시작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치솟는 원달러 환율, "1,400원 지붕 뚫리나"
Fed 금리 인하 지연에 중동 전쟁 우려까지 겹쳐
지난해 말 美 연준, 올해 연내 3회 금리 인하 시사
시장은 오는 6월부터 6차례 인하할 것이란 전망도
올 들어 물가 오름세 이어지면서 연준도 태세전환
usa_gdp_20240329

블랙록의 창업주인 래리 핑크 회장이 올해 2차례 금리 인하를 예상했다. 올해 들어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을 웃도는 등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목표치인 2% 달성이 어려울 것이란 예상이 나오면서 당초 금리 인하 개시 시점에 대한 전망도 6월에서 9월 이후로 후퇴하는 분위기다.

美 CPI 예상치 상회, ‘6월 인하설’ 물 건너갔다
환율 1,360원대 진입, 2022년 11월 이후 최고
엔화값도 34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져
interest-rate_FE_20240412_002

미국 기준금리가 예상을 웃돈 소비자물가지수(CPI)로 인해 인하 시점이 늦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며 달러당 원화가격이 1,360원대로 추락했다. 엔화 역시 동반 약세를 나타냈다. 엔화는 달러당 153엔대로 급락하며 3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신호가 명확해질 때까지 달러 강세가 지속되며 엔과 원 등 아시아 통화는 하락 압력을 계속 받을 전망이다.

美 3월 소비자물가 3.5%↑, 예상치 상회
CPI 충격에 후퇴하는 '6월 금리 인하론'
국채 수익률도 일제히 급등, 10년물 4.548%↑
CPI_getty_20240411
사진=게티이미지뱅크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전망을 뛰어넘는 속도로 상승하면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시점이 뒤fh 밀릴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 미국의 스티키 인플레이션 우려에 발표 직후 미 국채금리가 치솟는 등 시장도 충격을 받은 모양새다.

미 월가의 황제, 미 경기 낙관론 경계 "금리 급등 가능성 경고"
예상보다 인플레 높게 유지될 수도, 금리인하 대신 8%로 인상도 가능
국제유가 배럴당 90달러 돌파, 공급망 리스크 못 견뎠다
중동 지역 지정학적 리스크·절대적인 생산량 감소가 원인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 커져, 기준금리 인하는 언제쯤
2024년-국제-유가-변동-추이

국제유가가 배럴당 90달러 선을 돌파했다. 이스라엘과 이란을 중심으로 한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위기를 비롯해 각국의 원유 수출 감축 등 공급망 악재가 누적되며 가격 전반이 뛰어오른 것이다. 다가오는 여름,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선을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는 비관적 전망이 제기되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미국 중앙은행(Fed)과 유럽중앙은행(ECB)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한층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흘러나온다.

가격 올라도 명품 수요 증가세, "오히려 가격 인상이 호재"
장기 불황에 희소성도 올라, "최상위 브랜드 수요 여전히 견고"
미래 전망도 낙관적인 명품 시장, 주가도 거듭 '상승세'
LVMH_FE_20240408

루이비통, 샤넬, 에르메스 등 명품 브랜드가 경기 불황에도 꾸준한 수요를 보이고 있다. 판가 인상이 이뤄졌음에도 가격 인상이 오히려 명품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와 매출 성장이 이뤄진 것이다. 고액 자산가(슈퍼리치) 증가 등도 실적 개선 기대감을 높였다 이에 따라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에르메스 등 주요 글로벌 명품 기업들의 주가도 덩달아 상승세를 보이는 모양새다.

중국 제치고 아시아 주요 거점으로 자리매김한 인도
현대차·기아 인도 합산 순이익, 3년간 3,100억원씩 증가
현지 상장 추진도, '역대 최대 규모의 공모 사례' 전망
hd_india_20240405
현대차 인도법인 전경/사진=현대자동차그룹

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현대차·기아의 아시아 주요 거점 자리를 꿰찼다. 현대차의 중국 시장 내 사업 부진으로 충칭, 창저우 공장 등 현지 공장의 철수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인도법인(HMI·KIN)은 실적 경신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3% 초반이던 순이익률을 3년 만에 7% 중반대로 끌어올리면서 수익성 개선에도 성공했다.

LG에너지솔루션, 애리조나 공장에 7조2,000억원 투입
'친환경 반대파' 트럼프 전 대통령, 전기차 시장 리스크로 떠올라
파월 Fed 의장 "인플레이션 바탕으로 금리 고려, 정치는 무관"
준칙주의 앞세우는 Fed, 결국 금리 인하 관건은 인플레이션
베이징현대, 충칭 공장 이어 창저우 공장도 매각 
엔진공장 설비·도구, 자산 거래 매물로 잇따라 등록
반면 토요타, 판촉 및 중국 기업 협업으로 中 시장 반등 성공
beiginghyundai2_fe_20240401
사진=베이징현대

현대자동차의 중국 합작법인 베이징현대가 창저우 공장 내 생산설비를 연달아 매물로 내놓으며 매각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달 31일 업계에 따르면 베이징현대는 지난 19일 창저우 엔진 공장에서 사용된 생산설비·도구 등을 베이징자산거래소에 매물로 등록했다.

롯데쇼핑 해외사업, 지난해 외형 키우는 데 성공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 매출 1천억원 돌파
인도네시아 법인 실적도 괄목할 만한 성장세
lotte-mall-west-lake-hanoi_20240401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 전경/사진=롯데백화점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 롯데쇼핑 인도네시아 등 롯데쇼핑의 해외사업이 지난해 외형을 키우는 데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새롭게 개장한 웨스트레이크 하노이의 초기 비용 부담이 겹치며 백화점 부문은 적자를 면치 못했다.

삼성전자, 매출 기준 반도체 기업 순위 3위
인텔, 2년 만에 삼성전자 누르고 1위 탈환
반면 주가는 2년 8개월 만에 최고치 기록
intel_ss_FE_20240329

지난해 삼성전자가 글로벌 반도체 기업 매출 순위에서 3위로 내려앉았다. 삼성전자는 미국의 인텔을 제치고 지난 2022년 반도체 기업 1위에 올랐으나, D램·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 업황 침체에 타격을 받는 사이 인텔에 선두 자리를 뺏겼다. 여기에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의 최대 수혜를 입으며 깜짝 실적을 달성한 엔비디아까지 삼성전자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지난해 4분기 미국 GDP, 시장 기대 뛰어넘어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 "통화 완화 늦출 수 있다"
경기 침체 우려 일부 불식, 올해 전망도 비교적 낙관적 
usa_gdp_20240329

미국의 작년 4분기(10~12월) 경제성장률 확정치가 기존 잠정치와 시장 예상치를 모두 웃돌았다. 미국 상무부는 28일(현지시간) 계절 조정 기준 작년 4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연율 3.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3.2%)를 소폭 웃도는 수준이다. 미국의 성장률은 속보치와 잠정치, 확정치로 3차례 나눠 발표되며, 이 중 확정치는 잠정치 추계 때 제외됐던 경제활동 지표를 반영해 산출하는 최종적 수치다.

1990년 이후 34년 만에 엔화 가치 최저치 기록
견고한 강달러 및 미온적 통화긴축 기조가 원인
엔·달러 환율 155엔 넘으면 실개입 나설 수도
yen_dollar_fe_20240328

엔화가 달러당 152엔에 근접하며, 버블 경제 시절이던 1990년 이후 약 34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지난 19일 일본은행의 마이너스 금리 해제를 계기로 엔화 약세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예상과는 반대로, 엔저 고삐가 풀린 모양새다. 시장은 일본은행의 미온적인 통화긴축과 견고한 강달러를 원인으로 지목한다. 이런 가운데 시장의 눈은 일본 금융당국의 실개입 여부에 쏠리고 있다. 사실상 실개입 외에는 ‘슈퍼 엔저’를 방어할 마땅한 방법이 없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