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중국, 파격적 혜택 앞세워 해외 반도체 인재 유치 나섰다
높은 급여·우수한 교육 여건 등으로 인재 흡수하는 미국
지난해 반도체 분야 핵심기술 유출만 15건, 자국 인재 붙잡아야 
china_korea_us_20240328

중국이 반도체 등 첨단 산업 인재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후발 주자의 한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막대한 금전적 혜택을 '미끼'로 제시, 유능한 해외 인재를 적극 유치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이 반도체 패권을 잡기 위한 '인재 확보' 경쟁에 착수한 가운데, 국내 반도체 업계의 인재·기술 유출에 대한 우려는 깊어져만 가는 실정이다.

SK하이닉스, 최초로 해외 HBM 생산 기지 건설한다
칩스법 보조금에 동기 부여된 듯, "예상 외 보조금 받은 삼성도 영향"
40억 달러 투자 시사한 SK하이닉스, "'돈 없는' 환경에 과대 투자 힘들 듯"
SKhynix_dollar_FE_20240327

SK하이닉스가 미국 인디애나주에 40억 달러(약 5조3,000억원)를 들여 AI 반도체 핵심 부품인 HBM(고대역폭 메모리) 생산 시설을 짓겠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가 HBM 생산 기지를 해외에 짓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전자가 미국으로부터 대규모 반도체 보조금을 지급받는 모습을 보며 미국 투자에 대한 확신을 가졌던 것으로 업계는 해석하고 있다.

베이조스 3년만, 저커버그 2년만에 자사주 매각
JP모건 CEO, 사상 최고가 랠리 타이밍 맞물려
월스트리트 일각에선 단기 고점 가능성 거론도
Jeff-Bezos_20240325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사진=블루오리진 X

미국 유명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들이 주식을 대거 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미국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매수세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정작 CEO들은 정반대의 행보를 보인 것이다. 이에 월가에선 증시의 단기적 고점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美 연준, FOMC 회의서 5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 결정
점도표 금리 중간값 4.6%, ‘연내 세 차례 인하’ 시사도
매파에서 비둘기파로 돌아선 이유는 '과잉 긴축' 우려
Fed_info_FE_20240321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5.25∼5.5%로 동결했다. 지난해 9월, 11월, 12월과 올해 1월에 이어 5연속 동결이다. 함께 제시한 점도표에서는 올 연말 금리를 4.5~4.75%로 제시했다. 현재 금리를 정점이라 가정했을 때 세 차례 인하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는 연준이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과잉 긴축' 가능성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내년 HBM까지 거의 다 팔렸다, 마이크론 '어닝서프라이즈'
AI 메모리 3파전 본격화 양상, HBM3E에서 결판 날까
관건은 엔비디아의 최종 퀄(Qualifying) 테스트 통과
HBM_FE_20240321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의 메모리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이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면서 시간외 거래에서 15% 급등했다. 예상외로 강한 HBM(고대역폭메모리) 수요가 마이크론의 실적을 견인한 가운데, SK하이닉스-삼성전자로 굳혀졌던 HBM 시장판도가 바뀔지에 시선이 집중된다.

17년 만에 금리 인상, 마이너스 금리 정책 8년 만에 해제
대규모 금융 완화 3축 정책도 모두 해제, '역사적 전환점'
일본 기준금리 오르면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충격 우려
YEN_FE_20240320

일본은행(BOJ)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하고 17년 만에 금리 인상를 인상했다. 또한 상장지수펀드(ETF) 등 위험자산을 사들이는 제도를 중단하고, 장기 금리를 억제하기 위해 단행했던 무제한 국채 매입 정책도 폐지했다. '잃어버린 30년'을 되찾기 위해 돈 풀기를 고수해 오던 일본의 금융 정책이 대대적인 변화를 맞이한 것이다.

미국 텍사스주 36세 여성, 보톡스 맞고 사망 위험 처해, 안면 근육부터 목 근육까지 마비
의사들 "특이한 부작용일 뿐" 일축하지만, 미 FDA는 최대 40% 부작용 사례 누락한 제조사 경고도
보톡스 물질 제조사들 당일 주가 3~4% 빠져, 국내 대웅제약도 미국에서 보톡스 판매 중

미국 텍사스주에 거주하는 알리시아 할록(Alicia Hallock, 36) 씨는 지난달 17일 보톡스 부작용으로 안면 근육 마비, 목 근육 마비, 시야 흐려짐, 두통 등의 복합 증상을 앓고 있다고 자신의 틱톡 및 인스타그램을 통해 알린 바 있다. 이는 지난 6일(이하 현지시간) 피플(People)지를 통해 최초 보도됐고, 19 USA 투데이, 뉴욕 포스트 등의 복수의 외신을 통해 지면을 타면서 인스타그램, 뷰티 관련 SNS에서도 논란이 된 모습이다.

북미 최대 규모의 연기금 CalPERS, 사모투자 비중 40%로 상향
사모펀드 투자 중 공동투자는 효율적이고 이상적인 저비용 전략
사모투자 늘리는 포트폴리오 변경에 대한 내부 저항은 장애요인 

캘리포니아 공무원연금기금(California Public Employees’ Retirement System, CalPERS)은 약 4,190억 달러(약 562조원) 규모로, 이는 북미 최대 규모이자 세 번째로 큰 연기금이다. 적극적으로 자금을 투자하고 관리하는 주주행동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CalPERS는 최근 사모시장으로 영역을 확대해 저비용 고수익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조의 일환으로 지난 18일, CalPERS 투자위원회는 사모펀드와 사모채권 등 사모(PE)투자의 비중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AI 사용 늘면서 전기 펑펑
글로벌 데이터센터 소모량↑
원전 확대 추진 재개 움직임도
datacenter_20240319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첨단 기술이 현실화되고 있는 21세기에 세계 주요국과 글로벌 대기업들이 ‘전기 걱정’을 하고 있다.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센터 열풍이 전력 소비량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전력 수요 급증을 감당하기 위한 대안으로 원자력 발전소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본은행 마이너스 금리 종료, “역할 다했다”
단기금리 -0.1%→0~0.1% 상향
한국 증권가 "자동차·조선 등 수혜효과" 거론
JAPAN_FE_20240319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17년 만에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일본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디플레이션이 끝났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금리 인상과 함께 2016년 2월 시작한 마이너스 금리 정책도 종료됐다. 마이너스 금리 정책은 은행이 중앙은행에 돈을 맡기면 -0.1%의 단기 정책금리(당좌예금 정책잔고 금리)를 적용하는 방식이다. 이런 가운데 일본이 금리인상이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SNS 통해 경제 공부하는 미국 Z세대들
국내 Z세대들도 TV, 유튜브 등으로 투자 공부
SNS상 정보의 비전문성 우려 목소리도
TikToK_getty_FE_20240318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에서 강제 매각 위기에 몰린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이 Z세대의 재정 관리 방식을 교육하는 수단이 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확인되지 않은 금융 관련 지식이 유포되고 있는 만큼 규제 당국이 제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삼성전자, 반도체과학법 따라 60억 달러 지원금 받는다
TSMC 지원금은 50억 달러? 삼성전자에 기대 거는 미국
치열한 경쟁 속 성장 기반 확보, 수주 내로 지급안 발표
chips_act_samsung_20240315

미국 정부가 반도체과학법(Chips Act)에 따라 삼성전자 측에 60억 달러(약 8조원) 이상의 보조금을 지급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바이든 정부가 삼성전자의 미국 내 사업 추가 확장을 위해 팔을 걷어붙인 것이다. 15일 블룸버그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삼성전자의 보조금은 몇 주 내 발표될 지원안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보도했다. 단 이는 예비 합의이며, 최종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다.

마케팅 등 일부 부서 축소 계획 발표
최대 8,000개 일자리 AI 대체 선언하기도
5대 빅테크 직원, 팬데믹 전보다 71%↑
LAYoffs_finan_20240313

지난해 시작된 정보기술(IT) 업계의 감원 행렬이 해를 거듭해 이어지는 모습이다. 미국의 IT 기기 제조업체 IBM이 일부 사업 부문의 인력 축소를 결정하면서다. 많게는 수천 명에 달하는 직원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인공지능(AI)의 일자리 대체가 빨라지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하지만 현장 전문가들은 AI의 발전과 기업의 인력 축소는 별개의 사안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

아르헨티나 CPI 33년 만에 최고치, 보조금 삭감 영향인 듯
긴축 재정 고수하는 밀레이 정부, "인플레이션 둔화 양상"
물가 상승 여전한데 경기는 침체, 아르헨티나 덮치는 '스태그플레이션' 공포
Argentina_FE_20240313

아르헨티나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3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비에르 밀레이 정부가 보조금을 삭감하는 등 대대적인 긴축 정책을 펼친 결과다. 물가상승률이 역대 최고치에 근접했지만, 밀레이 정부는 당분간 양적완화와 긴축 재정을 계속 고수하겠단 방침이다.

"값싼 이민자 노동력, Fed 긴축 정책 유지할 범퍼 작용할 듯"
일자리와 실업률의 '정비례' 관계? 금리 인하 압박도 '여전'
좀체 안 잡히는 물가, 인플레이션 완화 지체에 신중론도
immigration_FE_20240313

불법 이민자 문제가 미국 경제를 위축시키지 않으면서도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긴축적 통화 정책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일종의 범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값싼 노동력에 해당하는 이민자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고용 시장이 의도치 않은 활황세에 접어들며 미국 경제에 고금리를 버텨낼 만한 체력이 생겨나고 있다는 주장이다.

탄소 중립 실현에 총력 기울이는 ASML, 고객사 압박 본격화
RE100 달성율 지지부진한 국내 파운드리 업체들 '비상'
기준 없이 무조건 규제? 급진적 ESG 경영 어려운 국내 시장 
ASML_SAMSUNG_20240311

반도체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제조사인 네덜란드 ASML이 고객사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압박을 가하고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파운드리 기업에 신재생에너지 활용률 제고를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ASML을 비롯한 글로벌 테크 기업들의 ESG 경영 기조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관련 기반을 갖추지 못한 국내 기업들은 줄줄이 시류 편승에 난항을 겪는 양상이다.

AI 플랫폼 '네모' 학습 관련 피소
오픈AI·MS도 NYT에 소송 당해
대부분 저작권 침해 소송은 '기각'
Nvidia_FE_202403011
사진=셔터스톡

인공지능(AI)칩 개발 기업 엔비디아(Nvidia)가 저작권 보호를 받는 작품을 허가 없이 사용해 자사 인공지능 플랫폼 네모(NeMo)를 훈련했다는 이유로 집단소송에 직면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이번 소송이 AI 기술의 발달과 저작권 법의 충돌이라는 현대적 문제를 드러낸 사례라는 평가가 나온다.

제롬 파월 의장, 상원 청문회에서 비둘기파적 발언
"금리인하 시점, 확신까지 머지않아" 긴축 완화 시동
가파른 물가 하락, 디플레이션 빠질 수도 
Powell_Fed_20240308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모습/사진=Fed 유튜브 캡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제롬 파월 의장이 기준금리 인하와 관련해 기존의 신중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미국 경제가 성장세를 지속하겠지만 금리 인하를 위해서는 물가가 잡혔다는 더 큰 확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연내 금리 인하를 기대하며 불확실성 제거에 안도하는 분위기다.

파월 발언에 금리 인하 기대감, 국제유가도 덩달아 '오름세'
원유 재고도 감소세, "휘발유 314만 배럴 줄었다"
여전한 중동 갈등, 지정학적 불안에 유가 상승 당분간 유지할 듯
oilprice_FE_20240307

국제유가가 오름세를 나타냈다. 올해 들어 최고치다. 이에 전문가들은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비둘기파적 발언을 내놓은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덩달아 유가도 올랐단 것이다. 이외 원유 재고 감소가 가시화하고 있단 점, 중동 갈등 장기화에 따라 원유 수급 불안정성이 높아진 점 등도 유가 상승에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

Fed 의장 “물가둔화 확신 필요”, 기존 입장 재강조
골드만삭스 "디스인플레이션 과정 매우 더딜 것" 지적
월가를 중심으로 퍼지는 '스태그플레이션' 시나리오도
Powell_FE_20240307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모습/사진=Fed 유튜브 캡처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6일(현지시간) 연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물가가 둔화됐다는 확신(confidence)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