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입찰 D-day, 경영권 지분 63.38% 매각 대상
내달 초 우선협상대상자 확정, 연내 거래 종결 전망
매도-매수자 '눈높이' 간극, 본입찰 결과 주목
애경산업 매각전이 본입찰 단계에 들어서면서 태광산업 컨소시엄과 앵커에쿼티파트너스(앵커PE) 간 양강 구도로 압축됐다. 매각 대상은 AK홀딩스와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지분이며, 매각가는 6,00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한앤코, 유력 인수 후보 부상
해외 상장해 총수 지분 정리 제안
경쟁자 제쳤지만 가격 이슈로 결렬 가능성
SK그룹의 웨이퍼 제조사 실트론 매각이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한앤컴퍼니(한앤코)와 사실상 단독 협상 구도로 굳어졌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개인 지분 처리 문제가 우호적 주주계약을 통해 해법을 찾으면서 매각의 핵심 걸림돌도 제거됐다. 다만 기업가치 평가와 가격 간극이 난제로 떠올랐다.
美 7월 CPI 상승률 2.7% ‘예상치 하회’
금리선물시장선 0.25%p 내릴 가능성 96%
베선트 美 재무 “0.5%P 빅컷 필요” 압박
미국의 7월 물가 상승률이 예상 범위에 머물면서 9월 기준금리 인하가 기정사실화 되는 분위기다. 올해 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근원물가의 경우 아직 애매한 관세 효과를 보이긴 했으나, 선물시장에서는 금리 인하 확률을 100%로 높였다.
5,000만원 이하 빚 올해 갚으면 신용 사면
도덕적 해이·성실 상환자 역차별 지적
연체 차주 평가 어려워 은행 건전성 영향
정부가 올해 말까지 5,000만원 이하로 연체한 빚을 갚으면 연체 기록을 완전히 삭제하는 '신용사면'을 실시한다. 하지만 이를 두고 금융업계에서는 도덕적 해이(모럴해저드)와 성실 상환자에 대한 형평성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홍콩증시, 상반기 135억 弗 조달
나스닥·뉴욕거래소 제치고 1위
해외 자본 유치·규제 유연 부각
홍콩이 수년간 지속된 하락 추세를 끝내고 아시아 최대 금융 허브 위상을 회복하고 있다. 홍콩거래소가 규정을 변경해 기업들의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고 효율적인 상장 절차 지원에 나서면서 투자 자금을 확보하려는 기업들의 움직임이 빨라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기업, 정규직 신입 채용보다 경력 중심
82%가 경력 채용, 신입만 뽑는 공고는 2.6%
기업 채용 트렌드에 맞춰 취업 전략 세워야
국내 주요 대기업의 청년 고용이 해마다 크게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대기업 중 절반 이상은 최근 2년 새 20대 청년 고용을 5만 명가량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명확한 기준 제시로 시장 예측 가능성 확대
공모주 배당 등 모범 사례 제시 방안 유력
중복상장 유형별 범위 해석이 관건 될 듯
국내 증시의 신규 상장 심사를 전담하는 한국거래소가 ‘중복상장'에 대한 심사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상장 업무를 전담하는 업계에 전달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그동안 중복상장의 개념·유형·허용 여부를 두고 시장 내 혼선이 있어 온 만큼 명확한 기준을 밝혀 시장 참여자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일평균 7,400억→3,500억, 거래급감·총량감축 영향
규제 발표 즉시 서울 한강벨트 등 집값 상승폭도↓
단기적으로 집값 안정 효과, 추가 규제도 시사
정부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초강력 부동산 대출 규제로 인해 과열 양상을 보이던 부동산 시장이 급속도로 냉각되고 있다.
지난해 폐업자 수 100만8,282명, 2년째 증가세
자영업 비율 높은 소매업·음식업 폐업자가 45%
'사업 부진' 이유로 폐업한 사업자 절반 넘어
1년 동안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 소매업·음식업종 비중이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이는 단순한 경기 부진이 아닌, 한국 경제의 허리가 서서히 무너지고 있다는 경고음이다.
‘10년 만에 최고 연체율’, PF 정상화 속도전
금융당국 압박에 저축은행 ‘발등에 불’
남은 사업장 브릿지론·지방, "정리 속도 둔화"
금융당국의 전방위 압박 속에 저축은행들이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을 대거 털어내고 있지만, 시장의 자율적인 조치만으로는 한계가 뚜렷하다. 올해 상반기 1조4,000억원을 포함해 지금까지 2조원가량이 정리됐으나, 여전히 10조원이 넘는 부실자산이 누적돼 있는 상황이다.
저축은행 M&A, 규제 완화에도 '지지부진'
OK금융, 두 저축은행 동시 인수 '구원투수' 자처
금융당국 추진 구조조정에 선제적 대응 의지
저축은행업계 구조조정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OK금융그룹이 상상인저축은행과 페퍼저축은행의 동시 인수를 추진하며 구원투수로 나설 전망이다. 현재 OK금융은 두 저축은행 모두를 인수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부메랑으로 돌아올 민간부채
절반이 부동산, 금리 인하 발목
성장 떨어뜨리고 내수 부진 가속화
우리나라 국민의 가계부채가 소득보다 약 1.7배 높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즉, 빚 갚는 데 쓰는 돈이 늘었다는 것이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등을 겪고도 구조개혁을 통한 ‘부채 다이어트’ 없이 부동산으로 자금 쏠림이 지속된 탓이 크다. 이 같은 가계대출 증가는 부동산 거품만 일게 할 뿐 장기적으론 독약이나 다름없다.
61만원짜리 4만원에 내놔도 안 팔려
럭셔리 브랜드 '차이나 리스크'에 흔들
中 명품 소비 끝났나, 브랜드 가치 뚝
사진=LVMH 홈페이지
‘고가품은 오늘 사는 게 가장 싸다’는 불문율이 중국에서 옛말이 됐다. 한때 없어서 못 판다던 고가품들은 이제 중고 시장에서조차 눈물의 할인 판매에 내몰렸다.
현대카드 1분기 연체율 0.90% 기록, 업계 최저 수준
컨틴전시 프레임워크·싱크 프레임 등 위기 대응 체계 구축
글로벌 신평사 S&P·JCR, 현대카드 신용등급 상향 조정
카드업계가 취약차주의 상환 능력 저하로 건전성 관리에 비상이 걸렸지만, 현대카드만 유일하게 연체율 1% 미만을 유지하며 최상위 건전성을 지켰다. 3년여 전부터 금융 자산 규모를 축소하는 등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통해 건전성 여력을 확보한 결과다.
셰일업계 흔드는 트럼프 관세
투자 위축·생산 감소에 위기 고조
내년 美 원유 생산량 1.1% 감소 예상
미국을 글로벌 에너지 강국으로 도약시킨 ‘셰일 혁명’ 이후 10년간 이어진 에너지 호황이 끝나간다는 경고가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전쟁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로 세계 원유 수요가 위축되고 있는 데다, 고율 관세로 시추 장비 등 가격이 오르자 셰일업체들이 생산을 줄일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1% 아래로 떨어진 예금금리
하반기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일본식 장기불황 우려 확대
중국 기준금리 인하로 예금 금리가 0%대에 접어들자 중국 투자자들 사이에서 예금 이탈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이자 수익이 낮아진 예금 상품 대신 단기 채권 펀드 등 금융 상품에 돈이 몰리면서 관련 상품의 운용 규모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