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기대에 코스피가 반등하고 있지만 정작 개인투자자들은 한국 증시를 빠르게 이탈하는 모양새다. 정책 실효성 및 지속성에 대한 의구심이 표출된 결과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온라인 주식 커뮤니티 등지에선 윤석열 정부의 정책에 불신하는 글들이 지속적으로 게재되고 있다. 한 투자자는 “4월 총선 이후 어짜피 흐지부지 될 것”이라며 “26일이 되기 전에 빨리 팔고 떠나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반도체 업계 내 고대역폭메모리(High Bandwidth Memory, HBM) 경쟁에 본격적으로 불이 붙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구축을 위한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자, 수년 전까지 주목받지 못하던 HBM이 기업의 시장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품목으로 부상한 것이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은 차세대 시장 선점을 위한 '초격차 경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회사채 발행으로 조달하는 1조6,000억원 중 약 80%를 북미 합작법인(JV) 설비투자(CAPEX)에 활용한다. 올해 배터리 업황 위축에도 북미 시장 성장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대규모 투자를 준비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공격적인 투자 덕에 전반적인 시장 상황이 침체됐음에도 LG엔솔은 설비투자비를 예년과 비슷하게 유지했다. 성장 가능성을 대폭 늘렸단 의미다. 다만 이로 인해 당분간 자금난에 놓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위기관리에 역량을 다소 집중할 필요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LG에너지솔루션이 '4680(지름 46㎜·높이 80㎜)' 원통형 배터리를 오는 8월부터 양산한다고 밝혔다. 테슬라에 있어 4680 원통형 배터리 수급 문제는 가장 큰 현안 중 하나였다. LG에너지솔루션이 4680 배터리 양산에 무난하게만 성공해도 테슬라와 '윈윈 관계'를 구축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 사이에서는 정보기술(IT) 업계 내 대부분 기업이 수익성 개선과 적자 폭 축소를 과제로 떠안고 있는 만큼 카카오가 이번 경영진 교체를 시작으로 그룹 전반을 재정비할 것이라는 반응이 주를 이룬다.
지난해 줄줄이 호실적을 기록한 국내 일부 LCC가 본격적인 수익성 개선에 착수했다. 위탁수하물 수수료를 신규 도입·인상하며 추가 수입원을 마련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업황 악화로 신음하던 LCC 업계가 새로운 '터닝 포인트'를 맞이했다는 분석이 흘러나온다.
위메프·인터파크·티몬 등을 인수하며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몸집을 불려온 큐텐이 북미 기반 쇼핑 플랫폼 ‘위시’를 인수한다. 기존 아시아 물류 네트워크를 유럽·미국으로 확장해 글로벌 생태계 구축을 노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큐텐은 지난해 매물로 나온 11번가의 유력한 인수 후보로 꼽혔지만, 위시를 품으면서 11번가 인수는 사실상 무산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오는 4월 건설사들이 대거 법정관리에 돌입한단 설이 나돈다. 건설업계를 둘러싼 위기가 갈수록 커지면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단 방증이다. 업계에선 4월 위기설에 회의적인 의견이 지배적이지만, 그럼에도 막연한 불안감은 지우지 못하는 모양새다.
2023년 7월 '상온상압 초전도물질' LK-99를 개발했다 주장하며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김현탁 미국 윌리엄앤메리대 물리학과 교수와 퀀텀에너지연구소 연구팀이 다른 초전도체 주장 물질 'PCPOSOS'을 들고 내달 연단에 선다. 이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차갑다. LK-99의 악몽이 다시금 떠오른 탓이다. 과학계에서도 회의적 반응이 쏟아진다. 다만 상온 초전도체는 신기술의 영역인 만큼 거듭된 과학적 검증 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봐선 안 된다는 주장도 나온다.
설을 앞두고 산업계 곳곳에서 '성과급' 관련 분쟁이 불거지고 있다. 경기 침체로 인해 산업계 전반에 먹구름이 드리운 가운데, 비용 절감이 절실한 사측과 높은 급여를 보장받고자 하는 근로자의 이해관계가 충돌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현대자동차·기아 △LG에너지솔루션 △삼성전자 등 성과급에 따라 급여 수준이 크게 달라지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갈등이 격화하는 양상이다.
반도체나 자동차 등 특정 품목 편중 현상이 심화하는 것에는 주의가 필요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줄을 이었다. 우리나라의 실물경기가 중장기적 회복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부 품목에 집중된 반등이 아닌, 다양한 부문의 성장과 반등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성과급 감소에 분노한 LG에너지솔루션 직원들이 서울 여의도에서 트럭 시위를 벌이고 있다. 전기차·배터리 시장 전반이 아슬아슬한 '외줄타기'를 이어가는 가운데, 비용 절감을 추구하는 사측과 더 많은 보상을 원하는 직원들의 이해관계가 충돌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이 가시화되면서 아시아나항공의 고생길에도 끝이 보이기 시작했다. 다만 아시아나항공의 기력은 이미 쇠한 상태다. 업계 내 경쟁력이 추락한 데다 직원들도 줄퇴사한 탓이다. 아시아나항공 입장에선 재무구조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나, 그나마 흑자를 내고 있는 화물사업부마저 매각이 쉽지 않다. 아시아나항공의 가시밭길은 당분간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내려왔다. 공공요금 동결 기조와 국제유가 안정화로 국내 석유류 가격이 하락한 것이 주효했다. 이는 지난해 7월 이후 6개월 만으로, 시장 일각에서는 피벗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다. 다만 최근 국제유가가 다시 상승세를 보이는 등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변수가 곳곳에 퍼져있는 만큼 안도하긴 이르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1월 반도체 수출과 대중 수출이 동시에 '호조'를 보인 가운데, 미국의 수출통제 입김이 재차 거세지고 있다. 꾸준히 약세를 보이던 반도체·대중 수출이 동반 상승세를 보이자, 한동안 유예됐던 미국의 대중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에 본격적인 시동이 걸린 것이다.
반도체 시장을 뒤덮었던 먹구름이 서서히 뒤로 물러나고 있다. 31일 삼성전자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이 2조1,8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같은 해 1분기(4조5,800억원)와 대비하면 눈에 띄게 개선된 수준이다.
지난해 소비 동향을 나타내는 소매판매지수가 1년 전 대비 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 고금리 여파에 소비자들이 좀처럼 지갑을 열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더군다나 저성장 고착화 우려가 커지면서 세계 경제가 빛을 보는 상황에서도 우리 경제는 암울하기만 하다. 고통의 연쇄를 끊어내기 위한 전방위적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중국 최대 e커머스 알리바바의 해외 서비스인 알리익스프레스가 '수수료 제로' 혜택을 내세우며 한국 브랜드를 끌어들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브랜드 파워가 약한 중국산 초저가 상품뿐 아니라 한국의 유명 브랜드 상품까지 넣어 쿠팡과 네이버쇼핑이 주도하는 국내 e커머스 시장의 판을 흔들겠다는 것이다. 압도적인 가격 경쟁력으로 알리의 침투력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유통에 대한 시각을 전환하지 않는다면 국내 유통 생태계는 고사를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자금난에 빠져 은행 대출 원리금을 갚지 못하는 중소기업이 급증하고 있다. 우량 차주를 보유한 시중은행에서도 신규 연체금액이 5조원 가까이 늘어나는가 하면, 지난해 전국 어음부도율도 전년보다 2배 이상 늘었다. 고금리 장기화가 중소기업 자금난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가운데 정부마저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정책금융을 크게 축소함에 따라 향후 중소기업의 금융 여건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3분기보다 53% 가까이 하락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둔화에 따라 자동차 전지와 소형전지 부문 수익성이 악화한 영향이다. 여기에 올해 미국 대선에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폐지 등을 공약으로 내세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그간 대규모 투자를 통해 IRA 대응에 나섰던 LG엔솔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Pagination
- First page
- Previous page
- …
- 14
- 15
- 16
- 17
- 18
- …
- Next page
- 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