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3월 9.3만 건까지 늘었지만 이달 8.7만 건으로 뚝 대통령 파면으로 정책 연속성 장담 못해, 불확실성↑ 매물 거둔 강남 집주인들, 조기 대선 전까지 관망세 유지

서울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 매물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를 중심으로 조기 대선까지 집값 추이를 지켜보자는 관망세가 짙어진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강남 3구 매물 급감
15일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지난달 9만3,666건까지 늘었던 서울 아파트 매물은 이달 11일 8만7,607건으로 한달여 만에 6,000건가량 감소했다.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강남 3구와 용산구 매물 감소가 두드러졌지만, 다른 자치구도 감소세를 보였다.
매물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서초구로, 한 달 사이 7,660건에서 5,905건으로 23% 급감했다. 송파구도 6,770건에서 5,456건으로 19.5%, 강남구도 8,581건에서 7,322건으로 14.7% 감소했다. 용산구는 1,915건에서 1,658건으로 13.5% 줄었다.
아실은 지난달 24일까지 7,000건 대를 유지하던 서울 서초구 아파트 매물이 토허구역 지정 이후 연일 급감해 31일 6,296건까지 줄어든 것으로 집계했다. 4월 들어서는 △1일 6,282건 △2일 6,291건 △3일 6,326건 등 반등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4일 6,188건으로 재차 감소하면서 11일 5,905건까지 쪼그라들었다.

“조기 대선 지켜보자” 숨고르기
지역 중개업소들은 강남 3구와 용산구가 토허구역으로 지정되면서 매물이 한 차례 크게 줄었다고 전했다. 이후 시장이 안정을 찾아가는 듯했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 대선이 확정되면서 재차 매물이 자취를 감췄다고 입을 모았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동안 전국 아파트값은 38%, 서울 아파트값은 62.2% 상승했다. 조기 대선 결과로 들어설 차기 정부의 정책에 따라 '똘똘한 한 채'를 더욱 부추겨 문 정부 시기 집값 상승이 재연될 가능성에 집주인들이 주목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정책 변화 관련 우려가 커지는 것은 시장이 이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2월 서울시가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 일대를 토허구역에서 해제하자 강남3구 아파트값이 급등했다. 이에 서울시는 35일 만에 토허구역을 확대 재지정한 바 있다.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 대선이 치러지고, 새로운 대통령이 선출된다면 부동산 정책은 또다시 비슷한 상황이 연출될 것이란 시장 내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수요자들이 대선 이후 급변할 수 있는 정책 기조를 인식해 조기 대선 전까지 관망세를 유지할 것으로 점쳐진다.
집값 상승 기대감 확산
공급 감소도 집주인들의 기대를 키우는 요인이다. 올해 1분기 서울에 분양된 아파트는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페를라' 482가구가 전부다. 연간으로 따져도 올해 일반분양 예정 물량은 지난해 절반에도 못 미치는 6,729가구에 불과하다.
주택 공급 지표도 약세를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2월 주택통계를 보면 서울 아파트 착공은 617가구에 그쳐 전월 대비 61.6% 감소했다. 공급이 줄어드는 만큼 신축 아파트 수요는 적체되고 집값 상승 압력도 커진다.
전문가들은 대선 후보가 확정되고 공약이 발표돼 시장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된 후 가격이 상승하며 거래도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셋값이 오르는 가운데 아파트 공급은 부족한 상황"이라며 "금리도 하락세라 중장기적으로 집값은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지금은 시장 참여자들이 관망하고 있지만,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거래가 회복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