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이마트, 지난해 사상 첫 영업 적자 기록
인력 효율화 위한 첫 전사 희망퇴직 단행
실적부진·이커머스 공세에 휘청이는 이마트
emart_FE_20240326

이마트가 1993년 창사 이후 처음으로 전사 희망퇴직을 받는다. 앞서 폐점을 앞둔 점포 직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한 데 이어 전사적인 인력 효율화에 나선 것이다. 이는 쿠팡, 알리익스프레스 등 이커머스 강자들에 밀려 오프라인 점포의 수익성이 지속 악화하는 상황에서 인력 감축을 통해 비용 절감에 나서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유통 트렌드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이마트의 실적을 견인할 핵심 키로 여겨졌던 온라인 계열사들이 제힘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 3모녀, 대규모 대출 상환·이자 조정 단행
인당 부담만 수조원, 올 초 블록딜로 재원 마련하기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배당 수익으로 재원 메꿔
inheritance-tax_fe_20240325

삼성 일가가 거액의 상속세 부담에 짓눌리고 있다. 고(故) 이건희 선대회장이 남긴 유산에 부과된 12조원 규모의 상속세가 발목을 잡은 것이다. 재원 마련을 위해 거액의 대출을 받은 삼성 일가 3모녀(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는 주식 매각으로 주식담보대출을 상환하고 금리를 낮추는 등 추가 부담 경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고려아연, 영풍에 넘겼던 '서린상사 경영권' 확보에 총력
계열사 지분 투자, 우호 지분 확보 등으로 본격 '결별' 준비
영풍-고려아연 실적 격차 커져, 동업자에서 경쟁사로
youngpoong_20240325-1

영풍그룹(이하 영풍)과 고려아연의 '75년 동맹'이 막을 내렸다. 고려아연 측이 양사 동맹의 중심축이었던 종속회사 내에서 영풍과의 협업을 중단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지분 경쟁을 중심으로 양사의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동맹 결렬의 주요 원인으로 고려아연의 '성장'을 지목하고 있다. 자체적인 성장 동력을 충분히 확보한 고려아연이 영풍과의 연을 끊고 미래 성장 기반 마련에 착수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주총에 이어 올해도 회계 투명성 논란 이어져
횡령 의혹 질문에 "내부회계관리제도 잘 갖춰져 있다" 답변
K-배터리 업황 악화에 따른 밸류업 강조되는 분위기 맞춰줄 것 주문도

25일 LG에너지솔루션 주주총회에서 감사위원장 횡령 및 회계 투명성에 관한 논란 등이 언급됐다. 회사 직원도 참여해 개인 의견이라는 전제 아래 주주권한 제한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총회장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LG에너지솔루션이 비록 4년차 기업이기는 하지만 LG화학에서 계열 분리돼 넘어온 만큼, 내부 통제 시스템이 잘 관리돼 있을 것이라 기대했으나, 이번 총회 중에 터져 나온 각종 논란에 다소 놀란 모습이었다. LG에너지솔루션 측은 지난해 말 선임된 김동명 신임 대표와 함께 배터리 산업 불황 극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히며, ESG 경영 및 내부 회계 감사 시스템 강화를 위한 사외 이사 선임을 강조했다.

고 임성기 회장의 '오른팔' 신동국 한영정밀 회장, 통합 반대에 나서
임직원 사우회는 통합안 찬성,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들도 찬성 쪽에 무게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결정에 따라 국민연금·소액주주 표심 영향 받을 것

한미약품 그룹과 OCI그룹 통합을 둘러싼 한미약품 오너 일가의 경영권 분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그간 모녀(송영숙 한미약품 그룹 회장, 임주현 한미사이언스 사장) 측의 우세가 점쳐졌으나, 개인 최대 주주이자 고 임성기 회장의 오른팔로 불렸던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이 장·차남(임종윤 한미약품 사장, 임종훈 한미약품 사장) 형제 편에 서기로 하면서다. 임씨 형제는 한미약품그룹과 OCI그룹 간의 통합을 반대하고 있다.

HBM 투자에 '맞불' 놨나, 점유율 압박에 투자 확대 시사한 삼성
업계선 여전히 '물음표', "연내 수익성 회복도 불확실한데"
매출 대비 R&D 비중 높이는 SK하이닉스, 쫓아가는 삼성은 '불확실성'만 산재
samsung_SKhynix_FE_20240322

올해 삼성전자 DS부문이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비롯해 메모리 반도체에 30조원(약 224억 달러) 가까운 자본적투자(CAPEX)를 집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K하이닉스가 올해도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면서, 업계 내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따라가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다만 문제는 이만한 투자를 이어나갈 만한 여력이 삼성전자에 남아 있는지 의문이라는 점이다.

롯데쇼핑, 단기 현금 동원력 약화 우려
롯데마트·롯데백화점 자산 매각에 집중
다만 현금창출력 개선 효과 미미할 수도
lotte_FE_20240322
롯데백화점 본점 전경/사진=롯데쇼핑

롯데쇼핑의 유동자산이 최근 3년새 1조4,000억원(약 10억4,000만 달러) 이상 급감했다. 유동비율도 지난해 절반이나 내려앉았다. 이에 업계에서는 롯데쇼핑의 단기 현금동원력이 악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롯데쇼핑은 차입금 상환으로 현금성자산이 줄어든 측면이 있고 순차입금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큰 재무 부담은 없다는 입장이다.

SK온, 임원부터 단계적인 구조조정 진행 중
임원 20% 축소, 미국 현지 공장도 생산 인력 감축
전문가들 "전기차 수요 감소로 배터리 시장 악화 장기화" 전망

배터리 시장 활황에도 불구하고 적자 행진을 이어왔던 SK온이 단계적인 구조조정에 착수한 모양새다. 22일 SK온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들어 3월까지 총 13명의 임원이 퇴직했다. 지난해 11월에 단행됐던 임원인사에서 진교원 최고운영책임자(COO)가 퇴임자 명단에 올랐던 것에 이어, 1월에 11명, 2월 및 3월에도 각각 1명씩의 상근 임원이 퇴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 기준 SK온의 미등기 임원 수는 65명으로, 약 20%가 퇴사한 것이다. 연말연시를 맞아 임원단이 교체되는 일은 있었으나 신규 선임된 미등기 임원이 불과 5명에 그친다는 점에서, 업계는 SK온이 본격적인 구조조정을 준비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소송 위기 몰린 신탁사들, 대주단 “신탁사가 준공 마무리하라”
‘고수익 사업’ 책임준공 토지신탁, 결국 부메랑으로 돌아오나
신탁사 리스크에 ‘공백’ 우려, “대주단부터 건설사까지 위기 피하기 어려울 것“
land-trust_FE_20240322

건설사의 준공 책임을 투자자에 약속한 부동산신탁사에 처음 손해배상청구 소송이 제기됐다. 건설경기 침체로 중소건설사의 부도 위험이 커지면서 부동산 호황기에 무분별하게 ‘책임준공’ 약정을 맺은 신탁사를 상대로 줄소송이 이어질 수 있단 우려가 쏟아지는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선 신탁사 리스크가 건설업계 전반의 경색으로까지 번질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쿠팡 독주에 밀린 마트 3사, 점포수 해마다 감소
국내 대형마트들, 위기 속 다양한 전략 마련 
롯데마트, 영통점 부지 시니어 레지던스 개발 추진
NC_FE_20240320

최근 유통업계가 점포 재계약에 난항을 겪으며 달라진 위상을 체감하고 있다. 내수 침체 및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해 유통 업황이 악화하면서 오프라인 유통 점포에 대한 재계약 선호도가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백화점·마트 부지를 오피스·레지던스 등으로 재개발하는 사례가 점차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글로벌 뷰티 편집숍 '세포라' 철수 결정
CJ 올리브영 강세에 결국 '백기' 들어
질 좋고 저렴해야만 살아남는 韓 시장
sephora_20230320
사진=세포라 코리아

전세계 최대 명품 브랜드 그룹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의 글로벌 뷰티 편집숍 세포라가 오는 5월 한국 시장에서 철수한다. 지난 2019년 10월 의욕적으로 서울 파르나스몰에 1호점을 열었으나, 5년도 채우지 못하고 문을 닫게 된 것이다. 세포라는 루이비통, 디올에 이어 매출액 기준 LVMH 산하의 3번째 초대형 브랜드지만, 저가 전략을 내세운 브랜드만이 살아남는 한국 시장의 벽을 넘지 못했단 분석이 나온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협상 끝에 '쟁의 찬반 투표' 진행
성과급 논란 끝에 격화한 노사 갈등, 최초 파업 벌어지나
실적 악화에 신음하는 사측, 노조 '떼쓰기 투쟁' 이대로 괜찮은가
demonstration_samsung_20240319

삼성전자와 노조의 임금·복지 조건 협상이 최종 결렬됐다. 지난해 실적 악화로 신음하는 사측과 성과급 감소에 분노한 노조 측이 끝내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것이다. 한국노총 산하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측은 “18일 사측과의 마지막 대화에서 성과급 제도 개선 거절, 재충전 휴가 거절로 조합은 쟁의 상황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유럽 공장 타진하는 금호타이어, '홍해 사태' 불안정성 낮춘다
현지 진출로 매출 상승 노린다, 'MADE IN KOREA' 브랜드 가치 오를 수도
타이어에도 '지속가능성', 유럽 소비자 겨냥한 기업의 성숙한 발걸음
tire_EU_FE_20240318

금호타이어가 1조원 이상을 투입해 2027년 유럽에 첫 공장을 짓는다. 루마니아, 세르비아, 포르투갈, 튀르키예 등 4개국을 대상으로 보조금 규모, 세제 혜택 등 각국이 약속한 인센티브를 검토한 뒤 연내 공장 부지를 선정하겠단 방침이다. 금호타이어는 유럽 현지에 공장을 세우면 브랜드 가치 제고, 물류비 절감 등 연계 효과를 통해 매출 증대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HBM의 전력 과다 소모 탓 차세대 메모리 인터페이스 기술인 CXL에 관심↑
CXL이 기술적으로는 우위에 있지만 호환되는 부품은 아직 부족
국내 기업들 CXL 컨트롤로 외주 중, 삼성전자는 자체 생산에 박차

지난 13일(현지시간) 삼성전자와 AMD 간 HBM 메모리 납품 계약 소식이 알려지면서 AI 반도체 업계에서는 1~2년 내에 메모리 기술력 표준 전쟁이 또 한번 가시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AMD에서 지난해 말에 출시한 MI300X가 사실상 Nvidia가 독점하고 있는 생성형 AI용 GPU 시장을 재편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다.

한미약품그룹 경영권 분쟁, 임 사장 형제 자금력 부족으로 조기 일단락될 것 전망
국내 주요 사모펀드들, "논란에 휩싸여서 득 될 것 없다"는 판단
주가만 20~30% 올랐다가 다시 떨어지는 중
60%에 달하는 상속세의 불합리성 탓에 집안 불화만 키웠다는 비판 나올 것 예상도

한미약품그룹의 집안 내 경영권 분쟁이 오는 28일에 있을 정기주주총회에서 일단락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주주총회 장소 변경까지 논란이 되면서 주식시장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한미약품그룹의 모녀(송영숙 회장, 임주현 사장) 측이 주주총회 장소까지 세심하게 정할만큼 경영권 분쟁을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다는 분석 아래, 이번 주주총회에서도 무리 없이 OCI그룹과의 합병 안이 통과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모녀의 통합 안에 강한 반대를 표명하고 있는 장·차남(임종윤 사장, 임종훈 사장) 측이 주요 사모펀드(PEF)들과 연계해 주주총회에서 예상을 뒤집는 반전이 나올 여지가 있기는 하나, 현실적인 제약을 놓고 봤을 때 반전 드라마를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설명이다.

알리바바그룹, 차후 3년간 국내에 대규모 투자 단행
한국 물류센터 확보 중심으로 사업 확대 전략 본격화
국내 공략에 속도 내는 알리익스프레스, 토종 이커머스 어쩌나
ali_express_20240314_

중국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 알리익스프레스의 모기업 알리바바그룹이 한국 시장에 1조원(약 7억5,000만 달러) 이상의 투자를 단행한다. 통합 물류센터 구축 등을 통해 본격적으로 국내 사업을 고도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알리바바그룹은 최근 한국 내 사업 확대를 위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사업 계획서를 한국 정부에 제출했다.

태영건설 '자본잠식'은 워크아웃 영향? 금융당국도 "통상적인 과정"
부동산 PF 사업 유지하는 태영건설, "사업 중단해도 손실은 그대로"
처리 방안 미결정 사업장도 여전히 많아, "사실상 안 팔려서 못 파는 것 아니냐"
Taeyong_FE_20240314

태영건설이 자본잠식 상태에 빠지며 유가증권 시장에서 주식 거래가 정지됐다. 채권단과 금융당국에선 향후 기업구조 개선작업(워크아웃)을 계속 진행하는 과정에 주요 변수로 작용하진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주식거래가 중지에 따른 투자자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사과 도매가격 올 들어 처음 9만원선 돌파
이상기후로 인한 생산량 축소 및 농촌 고령화가 원인
농촌 인력난, '이민정책' 통해 활로 찾아야 제언도
Many ripe juicy red apples covered with water drops, close-up, selective focus, ripe fruits as a background

중도매인 상회에서 거래되는 사과 도매가격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10kg당 9만원선을 뚫었다. 지난해 냉해와 장마 등 이상기후로 생산량이 줄어든 사과는 1년 새 두 배 넘게 가격이 뛰었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농업 고령화가 지목되는 가운데, 이민정책 활성화를 통해 활로를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중국에 치이고 사우디에 치이는 석유화학, 한국 '대위기' 맞나
기반 시설 매각 나선 기업들, 하지만 "제값 주고 팔긴 어려울 듯"
원천기술 개발 중요성 부각되지만, "R&D 늘린다고 해결될 문제 아냐"
china_saudi_chemical_FE_20240311

한국 석유화학 산업이 대위기에 몰렸다. 중국의 기술력이 높아지면서 자급률이 하늘을 뚫은 데다, 최근엔 중동 업체들까지 석유화학에 진입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원가 경쟁력이 높은 중국과 저가원료를 기반으로 한 중동을 딛고 일어서기에 한국의 기술력은 뒤처지기만 한다. 결국 감당하기 힘든 수준까지 몰리면서 국내 기업들은 석유화학 기반 시설 매각 작업에 돌입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 모양새다.

국내 배터리 3사 차세대 배터리 개발 로드맵 발표
삼성SDI·SK온 “전기차 충전 속도 획기적으로 단축”
항공기로 타깃 확대한 LG엔솔은 ‘리튬황전지’ 주력
inter_battery_20240308
3월 6일부터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2024’를 찾은 관계자들이 삼성SDI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사진=코엑스

이차전지 시장 내 경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는 모습이다. 안전성과 충전량을 기준으로 경쟁하던 지금까지와 달리, 완충 속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는 기업이 늘어나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