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 Home
  • 딥파이낸셜
  • [딥파이낸셜] 관세 피해 줄이려면 ‘공급업체 교체’ 역량부터
[딥파이낸셜] 관세 피해 줄이려면 ‘공급업체 교체’ 역량부터
Picture

Member for

9 months 1 week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

수정

보호무역하 ‘공급망 다변화’가 핵심 역량
‘공급자 교체 역량’이 관세 피해 최소화
디지털 조달 및 현지화도 필수

본 기사는 The Economy의 연구팀의 The Economy Research 기고를 번역한 기사입니다. 본 기고 시리즈는 글로벌 유수 연구 기관의 최근 연구 결과, 경제 분석, 정책 제안 등을 평범한 언어로 풀어내 일반 독자들에게 친근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기고자의 해석과 논평이 추가된 만큼, 본 기사에 제시된 견해는 원문의 견해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무역 전쟁이 심화하고 관세가 보편화하며 보호무역에서의 승자를 가르는 새로운 기준이 등장했다. 관세로 인한 피해는 세율 자체보다 기업들의 적응력에 달려 있다. 그 적응력을 가르는 척도가 바로 ‘검색 자본’(search capital)이다.

사진=ChatGPT

관세 장벽 극복 위한 ‘검색 자본’

올 상반기에 몰아친 신규 관세에도 글로벌 성장률은 2.4%를 근근이 유지했다. 하지만 관세로 인한 영향은 기업마다 크게 달랐다. 일부는 충격을 공급자나 소비자에게 통째로 전가하기도 했고 쉽게 대안을 찾기 어려운 기업들은 그대로 흡수하기도 했다. 여기서 근본적인 차이는 기업들이 속한 산업이나 국가가 아니라 공급자들을 찾고 인증하고 교체하는 역량이었다. 이른바 검색 자본(search capital)이라고 불리는 요소다.

지금까지는 관세의 영향을 받아내는 쪽이 수출업자인지 수입업자인지에 초점이 맞춰졌다. 하지만 더 중요하게 볼 점은 공급망을 신속하게 재배치할 수 있는 기업이 훨씬 낮은 피해를 입는다는 것이다. 경직된 계약 구조에 갇히거나 소수의 공급자에게 의존하는 회사가 거대한 비용을 치른다.

요즘처럼 지정학적 충격이나 제재, 보호무역주의가 만연한 정책 환경에서 궁극적인 결정 요인은 관세율이 아니라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공급자를 교체할 수 있는가에 있다. 거시경제 상황이 동일하다 해도 개별 기업들의 성과는 이에 따라 갈린다.

공급망 다각화, 정책 위기 극복 ‘열쇠’

이러한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경제학자들이 도입한 것이 ‘검색 자본’이다. 대안이 될 수 있는 공급업자를 찾아내고 평가하며 공급망 내에 합류시킬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해당 역량을 은행의 유동성처럼 측정하고 보유하며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그런 의미에서 기존 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는 지표가 ‘검색 비효율 지수’(Search-Friction Index, 이하 SFI)다. 기업 네트워크, 공급업체 다양성, 디지털 조달 수단의 사용, 계약 내용의 융통성 및 업체 교체 이력 등이 포함된다. 연구에 따르면 높은 SFI를 가진 기업은 낮은 관세를 물고 경제적 회복도 빠르다. 그렇다면 정책 당국은 해당 역량을 국가 경제의 완충장치로 보고 투자할 필요가 있다.

이는 관세만이 아니라 노동 시장을 겨냥한 제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작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유연한 근로 계약하에 있는 기업이 인력을 재배치해 위기를 벗어난 반면 그렇지 못한 기업은 타격을 입었다.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일은 조달 및 계약과 더불어 보유 기술 자체의 유연한 활용에 달린 것으로 보인다.

노동 시장 제재 전후 기업의 비공식 노동 활용 정도
주: 제재 시점(=0) 전후 기간(X축), 비공식 노동 활용 정도(Y축), *90% 신뢰구간, *제재 이후 인력 재배치가 어려운 기업들의 비공식 노동 활용이 증가했음을 나타냄

기업 핵심 역량이자 안전장치

최근 IMF(국제통화기금)와 BIS(국제결제은행)의 연구도 이 사실을 뒷받침한다. 다각화된 공급망과 디지털 인프라를 갖춘 기업들의 회복력이 훨씬 높았다. WTO(세계무역기구)에 따르면 앞으로의 무역 성과는 성공적인 시장 진입보다 위험이 구체화됐을 때 얼마나 빨리 공급망을 대체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고 한다.

‘검색 자본’이 본질적으로 인적자본의 문제이므로 직원 교육도 달라져야 한다. 조달 분석, 불확실성하의 계약 구조, 네트워크 지도 작성 등이 경영대학원과 직업훈련 학교에서 필수과목이 되어야 하는 이유다. 전 세계 170개를 넘는 지역에서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이 도입된 현시점에서 기업들은 공급업체 교체 능력을 핵심 역량으로 간주하고 정량화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 사고방식이 바뀌지 않는다면 결과도 그대로일 것이다.

공급망 재편과 현지화에 투자해야

정책당국은 대기업들의 교체 역량에 대한 감사를 정례화하고 공유 조달 인프라(shared procurement infrastructure)를 구축하는 한편 신용 및 세제 혜택을 SFI의 개선 정도와 묶어야 한다. 시나리오 분석에 따른 대비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기업이 10%의 관세 인상이 보유 네트워크를 통해 미치는 영향을 스스로 분석하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이는 관세에 대한 수동적인 대응에서 나아가 적극적으로 자생력을 추구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검색 자본에 따른 실질 관세 부담
주: 낮은 SFI(좌측), 높은 SFI(우측), 실질 관세 부담(%, 명목 관세 대비 비중), 공급업체 교체 기간(월, 중간값)

공급망 다각화가 비용을 올려 인플레이션을 가속화할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 하지만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공급망 재편과 현지화에 미리 투자한 기업들이 올 상반기 성장을 이끌었다. 또 중소기업들이 디지털 플랫폼과 공유 인증 서비스를 활용하면 다국적 기업에 준하는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재고 비축을 통한 대응보다 비용도 훨씬 낮다.

관세는 불가피하겠지만 피해는 동일하지 않을 것이다. ‘검색’에 투자한 기업과 국가가 피해를 줄이고 궁극적인 승자가 될 것이다.

본 연구 기사의 원문은 Tariffs Don’t Just Raise Prices — They Tax Firms’ Ability to Search | The Economy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차 저작물의 저작권은 The Economy Research를 운영 중인 The Gordon Institute of Artificial Intelligence에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9 months 1 week
Real name
김영욱
Position
연구원
Bio
경영학 전공에 관리자로 일했고 재무, 투자, 전략, 경제 등이 관심 분야입니다. 글로벌 전문가들의 시선을 충분히 이해하고 되새김질해 그들의 글 너머에 있는 깊은 의도까지 전달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