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동현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재무 위기에 허덕이는 효성화학, 작년 총부채 3조537억원 수준특수가스사업부 매각 타진했지만, 연대책임 의무가 '족쇄'돌파 전략은 영업양수도, "효성이 특수가스 신설법인 모회사 될 듯"
HYOSUNG_Neochem_20240522
효성화학 삼불화질소(NF3) 공장/사진=효성화학
재무 위기에 빠진 효성화학이 특수가스사업부 소수 지분(49%) 매각을 추진 중인 가운데, 딜을 원안대로 진행할 시 그룹 지주사 효성이 특수가스사업을 담당할 신설법인을 직접 품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가스사업을 영위하는 계열사가 지주사의 손자회사가 아닌 자회사가 되는 셈이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지분 보호예수 해제에 BRV, 220만 주 블록딜 매각 나섰다매각 이후 주가 급락 수순, 전일 대비 10%·12% 하락하기도이차전지주 투자 심리 약화 등 악재 겹쳤지만, "하반기 이후 실적 개선 기대"
money_BLUERUN_FE_20240521
구연경 LG복지재단 대표의 남편 윤관 대표가 이끄는 블루런벤처스(BRV)가 보호예수 해제 이후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지분 일부를 시간외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
ETF 베끼기 관행 여전, 지난해 이차전지 이어 올해는 비만치료제ETP 신상품 보호제도 개선 등 방지책 마련하고 있지만, "사실상 유명무실"시장 점유율 경쟁 과열 양상, 중소형 자산운용사만 여전히 '눈치 보기'
ETF_FE_20240521
금융권 내 상장지수펀드(ETF) 베끼기 관행에 대해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상품 베끼기가 반복되면서 무익한 경쟁이 이어지고 있는 탓이다. 이에 거래소는 베끼기 관행을 막겠단 취지의 제도를 내놨으나, 업계에선 이마저도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불안 여전, Fed 금리 인하도 지연 수순한은 기준금리 11회 연속 동결할 듯, 시장선 "10월 인하 가능성 높아"이창용 총재 "하반기에도 금리 인하 불확실할 수 있어, 경제 전망 변화 살펴야"
BOK_FE_20240520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3.5%로 묶어둔 기준금리를 11회 연속 동결할 전망이다. 미국이 9월께 통화정책 전환에 나설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한국은 10월은 돼야 금리를 낮출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3월 광의통화 1.6% 증가, 금융위기 2009년 이후 역대 최대 폭한은 "대정부 대출금 증가, 경상수지 흑자 폭 확대 등 영향일 가능성 있어"PF 연착륙 지원·소상공인대책 등 정책금융 다각화도 통화량 급증에 한몫
korea_money_M2_FE_20240517
국내 통화량이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던 2009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긴축적 통화정책을 시행 중인 상황에서 통화량이 역대급으로 증가한 것이다. 이 같은 현상에 한은 측은 경상수지 흑자 폭 확대, 금리 인하 기대감 장기화 등을 원인으로 꼽은 가운데, 전문가들은 정부의 전폭적인 재정 지원이 통화량 증가세에 동력이 됐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CFD 활용해 주가조작 자행한 빌 황, 형사재판 본격 시작국내판 빌 황은 라덕연, "한국 CFD 시장 몰락의 주범"


AI 리포트에 증권업계 불안 증폭, "AI 애널리스트로 대체될 수도"인간 대체 아직 시기상조,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일 여전히 많아"


우리금융그룹 증권사 재건 본격화, 포스증권 M&A로 첫발 내딛는다시장 분위기는 "글쎄", 초소형 증권사 인수로 오히려 숙제 늘었다우리금융 '뒷배'에 기대감도, "증권업계 메기 역할은 충분히 가능할 듯"
Woori_invest_FE_20240508
우리종합금융과 한국포스증권 합병을 통해 우리금융그룹의 숙원이었던 증권사 재건이 본격 첫발을 내디뎠다. 다만 초소형 증권사를 인수합병(M&A)하면서 풀어야 할 숙제는 오히려 늘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원·달러 환율 상승하자 외환보유액 감소, 외환당국 시장 개입 등 영향외환시장 개입에 시각 바꾼 IMF·BIS, 환율조작국 지정 우려 "사실상 없다"순대외금융자산 보유국 전환으로 신뢰도 높인 한국, 압력 강도도 덩달아↓
rate_of_exchange_FE_20240507
원·달러 환율이 큰 폭으로 오른 지난달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60억 달러(8조2,000억원) 가까이 감소했다. 외환당국 시장 개입 및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 감소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준 결과인 것으로 풀이된다.
내실 성장 이어가는 삼성카드, 취급액 줄었지만 순이익 증가세약진 성공한 현대카드, 시장선 "일시적 반사효과에 불과해"경기 불황에도 안정 유지한다? "장기적 승자는 결국 삼성카드"
SAMSUNGCARD_1Q_FE_20240503_003
삼성카드가 올해도 내실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취급액은 다소 줄었지만 순이익은 높은 증가세를 나타내며 사업 효율성을 더욱 강화했다는 평가다. 연체율 역시 업계 최저 수준을 유지하는 등 건전성 관리에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다.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유효한 성과가 도출되기 시작한 셈이다.
풋옵션 행사 여부로 격돌한 SSG닷컴-FI, GMV 지표 산출 방법론 견해차 표출FI "실질적 GMV는 풋옵션 요건 충족 못해, 상품권 중복 계상 걷어내야"


멈춰 선 4대 금융지주, 홍콩 H지수 ELS 배상 타격 컸다판매 잔액 가장 높은 KB금융, 그룹 전체 실적은 의외의 '선방'안정적인 손해율 관리 이룬 KB손보·라이프, KB금융에 '효자' 노릇 톡톡
KB_ELS_FE_20240426
KB금융그룹이 올 1분기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에서 홍콩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손실배상 관련 충당금 이슈가 불거졌음에도 1분기 그룹 전체의 당기순이익 1조원을 넘기는 데는 문제가 없었다. 그룹 계열사인 KB손해보험과 KB라이프생명의 손해율 관리가 실적에 부담을 덜어준 것으로 풀이된다.
새마을금고 NPL 매입 나선 캠코, "지난해 1조원 이어 올해 2,000억원"NPL 처리 방안 모호한 새마을금고, "MCI대부도 한계 다다라"금융업계서도 볼멘소리, "사실상 정부가 편의 봐주는 것 아니냐"
MG_KFCCC_20240425
MG새마을금고중앙회/사진=MG새마을금고
올해 들어 연체율 수직상승을 이룬 새마을금고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2,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NPL)을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새마을금고는 앞서 지난해 말에도 캠코에 1조원(약 7억2,000만 달러) 규모의 NPL을 매각한 바 있다.
EB 발행으로 실탄 챙긴다, 카카오 "AI 인프라 구축 및 M&A 모색할 것"카카오 영업이익 하락 수순, 매출 14% 늘고 영업이익 11% 줄었다상대적으로 이자 부담 적은 해외자금, "메리트 클 수밖에 없어"
Kakao_FE_20240424
카카오가 AI와 콘텐츠 사업 투자를 위해 대규모 자금 조달에 나섰다. 교환사채(EB)를 발행해 투자 실탄을 챙기겠다는 구상이다. 카카오는 새롭게 조달한 자금으로 AI 서비스 개발·운영에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인수합병(M&A)과 합작법인(JV) 설립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 
점포 효율화 나선 우리은행, 중소기업 특화 지점은 오히려 '추가'특화 지점으로 출구전략 구성했지만, "신한은 중기 특화 인터넷은행도 준비 중"


ABL생명 매각 재추진 움직임, "수익성 개선 성공은 명백한 호재"입맛 맞춰준 오션프론트파트너스, 올해 입찰 여부에 '관심 집중'보험사 M&A '동결' 상태, "흑자전환 시기 매각 실패 시 부담 높을 수밖에"
ABL_MONEY_FE_20240422
중국 다자보험그룹이 ABL생명 매각을 위한 행보를 재개하기 시작했다. 다시 매각에 나서는 만큼 거래가 진전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지난해 매각 과정에선 매도자와 매수자 간 밸류에이션 갭(기업가치 차이)이 커 거래가 불발된 바 있다.
4분기 손실분 선제 적립한 삼성증권, 2023년 신용손실충당금 3,250억원손실 인식 추세 확산, "해외 부동상 위기 심화 영향인 듯"


대형사로 쏠리는 고객들, 자동차보험 점유율 양극화 심화보험료 인하 움직임에 끌려다니는 중소형사들, "영업환경 더 어려워졌다"2023년에도 2022년에도 반복된 양극화 문제, 손보업계 관통하는 '불안정성'
car-insurance_FE_20240419
자동차보험 시장의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대형 손해보험사가 시장을 과점하는 양상이 이어지면서다. 현재 자동차보험 가입자 7명 중 6명이 삼성화재, DB손해보험, 현대해상, KB손해보험 등 4대 대형손보사 상품을 선택했을 정도로 쏠림 현상이 두드러진다.
계열사 합병 결정한 이마트, "3사 통합 작업의 일환"운영 효율화에 초점 맞춘다? "원가 절감 효과 있을 듯"


크린랲 회생절차 돌입, 경영권 분쟁-경영난 심화가 원인'폭풍의 눈' 된 주식증여계약서, 1심 승리 차남이 기업 이끌었지만뒤집힌 판결에 분쟁도 장기 수순, 내부 직원들 "기업 정상화하라"
cleanwrap_20240416
사진=크린랲
식품포장용품 제조기업 크린랲이 회생절차에 돌입했다. 창업주인 고(故) 전병수 회장과 차남이 장남 전기영씨를 상대로 제기한 경영권 분쟁 소송이 장남의 승리로 끝난 지 일주일 만에 차남 전기수씨가 대표이사로 있는 크린랲 법인이 기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