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동현
[email protected]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거칠기 마련입니다. 파편화된 정보를 정리해 사회 현장을 부드럽고도 가감 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SK그룹 재정비 계획 본격화, 계열사 매각 등으로 증권업계 이익 확대 전망자기자본으로 영구채 인수 요구한 SK온, 파트너 찾기 위한 '충성도 테스트'인 듯증권업계 당면 과제는 'SK와 관계 맺기', "하반기 증권사 먹거리 SK그룹에 달렸다"
SK liquidate assets FE 20240715
국내 증권사들이 SK그룹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계열사 통폐합, 투자 유치, 지분 매각, 기업공개 등 대형 이벤트가 줄줄이 예정돼 증권사 입장에서 거래 주선, 자문 등을 맡아 돈을 벌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어서다.
지방은행 기업 대출 연체 대출잔액 54% 급증, 2008년 이래 최대치DGB금융 당기순이익 10.1% 감소, 실적 개선된 JB금융도 건전성은 '악화'


코로나19 팬데믹 이래 고물가 지속, 소득 대비 식비 비율 11%소비 침체에 소매판매도 하락, 소비업계는 경쟁적 할인 정책 시행'디스인플레이션' 언급한 연준, 금리 인하 시기는 "언급 않을 것"
america discount FE 20240710
코로나19 팬데믹 이래 지속된 인플레이션으로 미국이 고물가에 허덕이고 있음에도 외식업계와 식품업계의 가격 할인 정책이 이어지고 있다. 고물가가 장기화하면서 소비재의 가격을 감당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시장을 떠나버리는 소비 침체 현상이 나타난 탓이다.
부동산 PF 부실 직격타, 중소형 증권사 수익 창출력↓이복현 금감원장도 쓴소리, "손쉬운 수익원 찾던 관행 바뀌어야"중소형사 신용등급·전망 하락 양상, SK증권 A2+→A2
stock company PF FE 20240708
증권사 규모별로 수익성 회복에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부동산 금융 수익성이 감소한 탓이다. 중소형사들의 경우 신용등급·전망 하락세도 이어지고 있는 만큼, 사업 다변화 등 내부적인 자구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유니콘 눈앞에 둔 에이블리, C커머스 알리바바그룹도 투자 타진쉬인 vs 에이블리 구도 형성, 알리바바 투자금으로 성장 제반 마련하나


형제 측 지지하던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 모녀 측과 주식매매계약 체결전체 의결권 과반 수준 지분 확보한 모녀, 경영권 분쟁 판도 바뀌나


커넥티드 카 등장에 자동차 보험 시장에도 '새바람', UBI 본격 등장UBI 시장 연평균 23.5% 성장 전망, 국내서도 UBI 상품 판매 시작


외국인 투자자들 사이 역대급 'Buy 코리아', AI 슈퍼사이클 영향국내선 한국 증시에 대한 불신 확산, 결국 국장 떠나는 한국 개미들테마주에 부화뇌동하는 국내 투자자들, "수혜주에 시장이 끌려다니는 꼴"
Stock market korea FE 20240701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개인투자자들의 불신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한국 증시에서 돈을 빼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건 예삿일이 됐고,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선 한국 증시 하락에 베팅하는 경우까지 생겼다. 증권가에서 '하반기 코스피 3,000 돌파' 전망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개인투자자들의 불신은 여전한 모습이다.
규제·세 부담 완화 및 배임죄 폐지 제시한 금감원장, '재계 달래기' 본격화상법 개정 반발 여전, 재계 "정당한 의사결정에 부당한 책임 물을 수 있어"


책준형 신탁에 PF 연쇄부실 우려 확산, 정부 "하반기 건전성 기준 강화안 발표"공사비 급증·고금리 부담에 미준공 사업장 다수 발생, 신탁사에 부실 전이도일각선 우려 목소리, "책준형 신탁 규제하면 중소 건설사 자금 마련 어려워져"
Completion Guarantee PF FE 20240624
신용도가 낮은 지방·중소 건설사의 사업에 부동산 신탁사가 연대 보증을 서주는 책임준공확약 관리형 토지신탁(책준형 신탁)의 건전성 규정이 크게 바뀐다. 책준형 신탁으로 건설사 부실이 신탁사로 전이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쇄 부실의 뇌관이 될 수 있단 우려가 커지자 대대적인 수술에 나선 것이다.
기업은행 신용평가모형 변경, "한시적 대출금리 인상 유예할 것"다음달 부턴 대안평가모형 적용, 비금융정보 수집해 기업 평가에 반영기업은행 행보에 시장서도 기대감, "벤처대출 첫 출시 때처럼 시장 선도할 듯"
IBK interest rate FE 20240621
IBK기업은행이 올해 한시적으로 신용등급이 하락한 기업들의 대출금리 인상을 유예하기로 했다. 올해부터 새로운 신용평가모형이 적용되는 만큼 신용등급 하락을 겪은 기업의 채무 상환 부담이 급격히 커지는 상황을 사전 방지하겠단 취지다.
M캐피탈 매각 수순인데, GP-LP 갈등은 '여전'리베이트 혐의에 중심인물 구속, 연결고리 희미해진 ST리더스-새마을금고거듭된 갈등에 GP 교체 추진한 새마을금고, 업계선 "새마을금고가 못난 아버지"
Mcapital FE 02 20240619
여신전문금융사 M캐피탈이 매각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앵커출자자(LP)인 새마을금고와 운용사(GP) ST리더스 간 갈등이 봉합되지 않은 상황에서 순탄한 거래가 이뤄질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고액자산가에 집중하는 은행들, PB 점포 늘리고 일반 점포는 '다이어트'점포 줄이기에 금융당국은 '반감', 폐점 조건 까다롭게 바꾸기도압박에도 은행권은 여전히 폐섬 러시, "미래 수익 늘리려면 어쩔 수 없어"
bank PB FE T4 001 20240618
시중은행들이 수익 개선의 일환으로 일반 지점을 줄이는 대신 고액자산가 대상 점포를 늘리고 있다. 고액자산가 자산관리(WM) 수수료를 통해 비이자이익을 늘리겠단 취지다.
기업개선계획 이행 첫발 내디딘 태영건설, 모회사 구주 감자 안건 등 의결티와이홀딩스 대여금은 영구채 전환, 만기 압박 벗은 태영건설자본잠식 해소 등 '회복' 전망 확산했지만, "근원 문제 해결은 아직"
taeyoung_workout_FE_20240612
워크아웃에 돌입한 태영건설이 자구안 이행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모회사 보유 구주 100대 1 감자, 대여금 영구채 전환 등 기업개선계획을 현실화한 것이다. 이에 태영건설과 산업은행 측에선 "조만간 회복에 접어들 수 있을 것"이란 긍정적인 전망이 나왔지만, 일각에선 회의적 의견도 적지 않다. 영구채 전환 등 방안은 결국 시간 끌기에 불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삼성전자 주가 거듭 하락, 목표주가 괴리율도 37.1%HBM 시장서 SK하이닉스에 밀리는 삼성, 엔비디아 납품엔 '청신호'자사주 매입으로 책임경영 의지 드러냈지만, 하락세 반전엔 실패
samsung_stock_down_FE_20240611
삼성전자 주가가 뒷걸음질을 반복하면서 증권사가 제시하는 목표주가와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열풍에 힘입어 올해 들어서만 두 차례 목표주가를 돌파한 SK하이닉스와는 상반된 모습이다.
건설업계 부동산 PF 리스크 '부각', 건설채 투자심리 뚝뚝수요예측 미매각에도 개인투자자 겨냥한 출구전략 짜낸 GS건설중소 건설사는 '울상', DL이앤씨도 회사채 발행 지연으로 리스크 회피
PF_debenture_FE_20240607-1
DL이앤씨가 회사채 발행 일정을 연기했다. 2021년 6월 발행했던 2,0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만기가 도래하는 데 따라 차환발행을 준비했지만, 건설채 투심이 회복되지 않는 탓에 일정을 미룬 것으로 보인다.
회복 조짐 보이는 상업용 부동산 시장, 해외 자본 유입도 23억 달러 수준PF 정상화 정책 쏟아내는 정부, 한국 시장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증가물류센터에도 해외 자본 16억 달러 유입, "PF 지원 영향력 크단 방증"
realestate_up_FE_20240604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회복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최근엔 해외 투자자들의 관심도 쏠리는 분위기다. 정부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정상화를 위해 지원책을 쏟아낸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배구조 정점에 선 농협중앙회, 기타비상무이사도 중앙회 인사올해만 금융사고 3건, 농협 특유의 지배구조가 사고 원인 됐나압박 더하는 금융당국, 농협 지배구조 개선 작업 본격화
NHbank_financial_authorities_FE_20240528
농협에서 연달아 금융사고가 발생하면서 금융당국 차원에서도 농협 지배구조 개선에 칼을 빼 들었다. 농협금융과 농협은행에 대한 수시검사를 정기검사로 전환하는 등 압박도 거세졌다. 아직 구체적인 방향성은 확정된 바가 없으나 당국의 개선 의지가 강력한 만큼 농협 입장에서도 더 이상 현 지배구조를 유지하기는 어려우리란 평가가 나온다.
키맨 퇴사에 11번가 IPO 무산 위기, SK스퀘어 경영권 포기했나콜옵션 포기로 FI에 공 넘긴 SK스퀘어, "IPO는 작년 초 이미 중단 분위기"기업가치 급락에 자체 매각 부담↑, FI 주체 매각으로 SK스퀘어 부담 덜까
11ST_FE_002_20240527
SK스퀘어 자회사 11번가의 기업공개(IPO) 계획이 무산 위기에 놓였다. 당초 11번가는 재무적투자자(FI) 주도의 강제매각 수순에도 IPO를 추진한단 방침이었으나, IPO의 키맨으로 꼽히던 김태완 최고전략책임자(CSO)가 회사를 떠나면서 사실상 동력을 잃었단 평가가 나온다.
무리한 M&A로 '몸집 불리기' 나섰지만, 영업손실만 대폭 늘어나작년 말 프레시지 영업권 '0원', "사실상 언제 망해도 이상하지 않아"최대주주 앵커PE도 위기 맞았다, "프레시지에 위기 확산 가능성"
fresheasy_broken_FE_20240523
2021년부터 인수합병(M&A)을 통해 몸집을 불려 온 프레시지가 해당 종속회사들의 영업권을 모두 손상차손했다. 영업권은 다른 회사를 인수하거나 합병하는 과정에서 그 회사의 순자산 가치보다 더 지급한 일종의 '웃돈'을 뜻한다. 결국 무리한 M&A를 이어가다 실적 악화를 면치 못하게 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