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 Home
  • FE분석
  • 美 고용 부진 심화, 이례적인 저해고·저고용 현상에 '경기 침체' 경고음

美 고용 부진 심화, 이례적인 저해고·저고용 현상에 '경기 침체' 경고음

Picture

Member for

10 months 1 week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7월 고용 부진에 장기 실업자 180만 명 넘어
기업들 고용 동결 기조 속에 신규 채용 급감
트럼프, 연준 이사 해임하며 금리 인하 압박

미국 고용시장이 급격히 악화하면서 경기침체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채용은 줄고 장기 실업자가 늘어나는 가운데, 기업들이 해고 대신 고용 동결을 택하면서 '불안정한 균형'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고용 부진의 흐름이 뚜렷해지면서 그동안 인플레이션 우려에 기준금리를 동결해 온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일자리 줄었는데 해고율은 호황기와 같은 수준

26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미국의 고용지표가 크게 악화한 가운데, 신규 채용도 해고도 하지 않는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고용시장 회복이 연준의 최우선 과제로 부상했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미 노동부와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자료에 따르면 6월 채용률은 3.3%로, 고용 호황기였던 2021년 11월 4.6%와 비교해 큰 폭으로 하락했다. 7월 신규 고용은 7만3,000명에 그쳐 전문가 예상치 11만 명을 크게 밑돌았고, 5월과 6월 고용 증가 수치도 하향 조정돼 월평균 신규 채용 규모는 3만5,000명 선까지 떨어졌다.

장기 실업자도 증가세다. 미 노동부 고용보고서를 보면 지난달 27주 이상 실직 상태인 사람이 180만 명을 넘어서며,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를 제외하면 2017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실업자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로 1년 전(20%)과 비교해 그 비중이 높아졌다. 같은 달 실업률은 전월 대비 0.1%포인트 오른 4.2%로 집계됐으며 실업자 수는 723만6,000명으로 늘었다. 노동 참여율은 62.2%로 2022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고, 불완전고용자·구직단념자·한계근로자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실업률 지표인 U-6도 7.7%에서 7.9%로 올랐다.

임금 격차는 확대됐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주당 806달러(약 111만원) 미만을 받는 하위 25% 노동자의 임금 상승률은 연 3.7%로 둔화됐으나, 주당 1,887달러(약 261만원) 이상 받는 상위 25%의 임금은 같은 기간 4.7% 상승했다. 이같은 고용지표 악화에도 해고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6월 해고율은 전체 고용 대비 1%로, 2021년 0.9%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고, 같은 달 해고 건수는 4만7,999건으로 올 들어 가장 적었다. 기업들이 해고보다는 신규 채용을 줄이는 '고용 동결' 혹은 '느린 채용' 전략을 채택했다는 분석이다.

美 3분의 1이 경기침체, 정부 일자리 축소 타격

이 같은 저해고·저고용 현상을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미국의 경기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영국의 글로벌 금융기업 바클레이즈는 25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최근 발표된 고용통계지표들을 반영한 결과, 미국의 경제성장 속도가 둔화돼 경기침체에 취약한 수준까지 내려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 경제는 아마 1년 이상 정체상태에 있을 확률이 높다”며 “이처럼 취약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앞으로 8분기 내에 경기 침체가 발생할 가능성도 50% 수준으로 산출된다”고 설명했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마크 잔디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미국 경제가 고위험 상태에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州)들이 이미 경기침체를 겪고 있거나 곧 진입할 가능성이 크다"며 “특히 워싱턴 D.C. 일대는 정부 일자리 축소로 타격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남부 지역의 비교적 안정적이나 성장 속도는 둔화하고 있다"며 "GDP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캘리포니아와 뉴욕은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가 경기침체를 막을 수 있는 기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잔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또 무디스의 머신러닝 기반 경기선행지표가 향후 12개월 내 침체 가능성을 49%로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의 조세 감면과 국방 지출 확대가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효과는 내년에야 본격화될 것”이라며 “기본 시나리오는 간신히 침체를 피하는 것이지만, 여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올해 말과 내년 초를 가장 취약한 시기로 꼽았다. 높은 관세와 이민 규제 강화의 충격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해 가계 실질소득과 소비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신중론' 고수해 온 파월도 9월 금리 인하 시사

이처럼 고용 부진과 경기침체 시그널이 잇따르자, 파월 의장은 9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파월 의장은 지난 22일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연례 심포지엄에서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훨씬 더 가까워졌고, 노동 시장은 이전의 과열된 상태에서 냉각됐다”면서 “리스크의 균형이 바뀐 만큼 우리의 정책 기조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금리 인하를 명시적으로 선언하지는 않았지만, 그간 인플레이션과 고용의 균형을 강조하며 기준금리 인하에 극도로 신중했던 모습과는 확연히 달라진 발언이다.

그동안 파월 의장은 경기 부양과 부채 부담 완화를 위해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맞서며 갈등을 이어왔다. 파월 의장은 정부의 재정 상황에 금리 정책을 맞추는 것을 경계하며 정치적 압력에 흔들리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을 '중대한 실패자(major loser)', '멍청이(knucklehead)', '고집 센 노새(stubborn mule)' 등으로 공개 비판했다. 최근에는 연준 본부 건물의 리모델링 사업과 관련해 과도한 예산 집행 등을 문제 삼아 파월 의장의 해임 가능성까지 제기했다.

연준 이사 인사의 신변에도 변화가 생겼다. 지난 2일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가 이례적으로 조기 사임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예상보다 이른 시기에 새로운 이사를 지명할 기회를 얻었다. 여기에 26일에는 주택담보대출 사기 협의를 받는 리사 쿡 연준 이사가 대통령 직권으로 전격 해임됐다. 현지 언론들은 이를 9월 통화정책회의를 앞두고 금리 인하를 촉구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고 있다. 총 7명의 연준 이사 중 파월 의장과 두 명의 이사를 제외한 4명을 자신이 임명한 인사로 채운다면 연준에 대한 영향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Picture

Member for

10 months 1 week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