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호조처럼 보이는데" 美 6월 고용 지표 뒤에 숨겨진 '침체의 그림자'
Picture

Member for

8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美 6월 고용 시장, 정말로 상황 양호했나
민간 부문 고용 작년 10월 이후 최소치
정부 조사 방법에 대한 의문도 제기돼

미국 정부가 탄탄한 6월 고용 지표를 발표했다. 비농업 부문 일자리 증가 폭과 실업률 하락 폭이 모두 전문가 예상치를 웃돌며 호조를 보인 것이다. 다만 시장에서는 정부가 발표한 자료만을 보고 고용 시장 펀더멘탈이 개선됐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는 지적이 속속 쏟아져 나오고 있다.

美 고용 지표, 6월에도 건재했다

3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노동통계국은 6월 비농업 부문 일자리가 전월 대비 14만7,000개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5월 증가 폭(13만9,000개)과 전문가 예상치(11만 개)를 훌쩍 상회하는 수준이다. 실업률은 4.1%로 전월(4.2%) 대비 하락했다. 전문가 예상치는 4.3%였다. 뉴욕타임스(NYT)는 “탄탄한 고용은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 높은 금리, 연방 정부의 대규모 해고 등에도 고용주들이 아직 본격적으로 고용을 축소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견조한 고용 지표가 발표된 이후 투자자들은 이달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인플레이션 우려가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 침체 우려가 일부분 해소된 만큼 금리 인하 시기가 늦춰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실제 이날 미국 기준금리에 대한 시장 전망치를 보여주는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툴에서 오는 29~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가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예상은 95.3%에 달했다. 금리 전망에 민감한 미국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0.09%P가량 상승했으며, 주식 시장에서도 다우 평균이 0.8%, S&P500 지수가 0.8%, 나스닥 지수가 1% 각각 올랐다.

'공공 일자리'가 고용 견인해

다만 일각에서는 6월 미국 고용 시장의 성장세가 어디까지나 '착시 현상'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민간 부분이 아닌 공공 부문이 일자리 증가세를 견인했기 때문이다. 6월 전월 대비 증가한 일자리 중 4만7,000개가 주 정부에서, 3만3,000개가 지방 정부에서 창출됐다. 대규모 인력 감축에 나선 연방 정부에서는 일자리가 7,000개 줄었다.

경기 상황을 점칠 수 있는 실질적 지표인 민간 부문 고용은 7만4,000개 증가하며 작년 10월 이후 최소치를 기록했다. 경제 상황에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받는 보건복지 분야에서는 5만9,000개의 일자리가 추가됐으나, 서비스, 제조업, 도매업에서는 일자리가 줄었다. 글로벌 사모펀드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의 글로벌 거시 경제 및 자산 배분 책임자 헨리 맥베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전체 고용 증가가 강하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소수의 특정 부문과 주 및 지방 정부의 고용 확대 영향”이라면서 “제조업 고용이 두 달 연속 감소하는 등 제조업 경기 침체가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실업률 하락세에도 '이면'이 존재한다. 미국의 6월 기준 경제활동참가율은 62.3%로 2022년 12월 이후 최저 수준까지 미끄러졌다. 미국 경제를 떠받치고 있던 이민자들이 추방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줄줄이 노동 시장에서 발을 뺀 결과다. 구체적인 수치를 살펴보면 6월 전체 실업자 수는 전월 대비 22만2,000명 감소했으며, 고용자 수는 9만3,000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경제활동참가인 수는 13만 명 감소했다. 6월 실업률 하락 및 실업자 수 감소분 중 절반 이상이 실업자들의 노동 시장 이탈에서 기인한 셈이다.

외신 "조사 방법 탓에 착시 생겨" 비판

외신들은 미국 정부의 고용 상황 조사 방법에 대한 비판도 내놓고 있다. 지난 2일 WSJ은 정부 조사 방법의 사각지대가 고용 시장 과대평가를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올 들어 5월까지 고용주 대상 조사에선 일자리가 170만 개 늘었지만, 가구 조사에선 증가 폭이 100만 개에 그쳤다는 것이다. 현재 미국 정부는 고용 동향 조사 시 고용주인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 외에도 피고용인인 일반 가구를 대상으로도 조사를 실시해 수치를 보완한다.

아울러 WSJ은 미국 정부가 매달 고용 보고서 발표 시 전달 수치를 정기적으로 수정하고 있으며, 올 들어 4월까지 월평균 일자리 증가폭이 5만5,000개 하향 조정됐다고 짚었다. 이와 관련해 사무엘 톰스 판테온 매크로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많은 고용주가 제때 응답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신속히 응답하는 고용주는 대기업인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소규모 기업이 뒤늦게 응답한 이후에야 악화된 고용 상황이 여실히 드러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조사 방법의 한계로 인해 정부 고용 조사 지표와 민간 고용 조사 지표 사이에는 상당한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앞서 미국 고용 정보 업체 ADP는 6월 민간 기업 고용이 전월 대비 3만3,000명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23년 3월(-5만3,000명)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자, 민간 일자리가 7만4,000개가 증가했다는 노동통계국의 발표와 완전히 상반되는 수치다.

Picture

Member for

8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