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남윤정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美, 고용·내수 등 경기지표 두고 전문가 엇갈린 전망제조업 침체가 노동 수요 둔화로 이어져 실업률 상승


주담대 금리 인상에 이어 전세대출·신용대출도 제한플러스모기지론도 중단, 주담대 한도 줄어드는 효과정부는 수도권 핀셋 규제, 2단계 스트레스 DSR 강화
20240822 bank loan
은행권이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에 이어 전세자금 대출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다. 최근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집값이 급등하면서 '갭투자'를 노린 투기성 대출이 늘어남에 따라 관련 규제를 강화해 가계부채 총량을 줄이기 위한 조치다. 다음 달부터는 금융당국이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황비율(DSR) 2단계 조치를 시행함에 따라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만큼 수도권 주택 시장이 변곡점을 맞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알짜 기업 두산밥캣 기업가치 저평가에 소액주주 반발두산에너빌리티 인적 분할 두고도 주주가치 훼손 논란금감원,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하며 지배구조 개편 제동
20240821 doosan m&a
두산그룹의 사업구조 개편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압박이 장기화되는 모양새다. 앞서 금감원은 두산로보틱스와 두산밥캣의 합병과 관련해 주주가치 훼손 논란이 제기되자 두산 측이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정정을 요구하며 제동을 걸었다. 이어 이복현 금감원장이 증권신고서에 부족한 점이 있을 때 횟수에 제한 없이 정정을 요구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금감원이 두산 측의 정정 신고서를 계속해서 반려할 경우 두산은 다음 달로 예정된 주주총회를 열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1~2월 SK·LG '역대급 물량'에 회사채 활황8월 들어 선행지표 '여전채 스프레드' 확대불확실성 증대에 기업 자금 조달 부담 커져
20240812 fe debt
올해 초 역대급 물량이 몰리면서 호황을 누렸던 회사채 시장이 다음 달부터는 주춤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달 들어 회사채 수급 여건을 가늠하는 여신전문금융회사 발행 회사채(여전채)와 국고채 간 금리 격차(스프레드)가 조금씩 벌어지는 가운데 하반기 공사채 공급 확대로 인한 구축효과 및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 등이 감지되고 있어서다.
빈곤율 55%·극빈율 20%·아동 빈곤율도 70% 육박밀레이 대통령 강력한 긴축 정책, '중산층' 끌어내려고물가에 평균 급여 급감 '빈곤선' 아래로 곤두박질
2024 806 argentina
극심한 경제난에 시달리고 있는 아르헨티나의 빈곤율이 50%를 넘어서며 올해 1분기에만 500만 명에 가까운 중산층이 빈곤층으로 전락했다. 지난해 취임한 하비에르 밀레이(Javier Milei) 대통령이 페소화 평가절하 등 과감한 개혁 조치를 추진하며 국가 재정이 흑자 전환하고 물가가 안정되는 효과가 있었지만, 이 과정에서 교육비나 주거비를 감당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중산층의 붕괴'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두산의 사업 지배구조 개편안, 지배주주와 일반주주 간 이해 엇갈려매출 10조 '알짜 기업' 두산밥캣을 매출 500억 로보틱스에 넘기기로 양사 주식 교환 방식으로 두산밥캣 1주당 로보틱스 0.63주 비율 논란
20240725 doosan m&a
금융감독원이 두산로보틱스가 두산밥캣과의 인수합병과 관련해 제출한 증권신고서에 대해 중요사항이 제대로 기재되지 않았다며 정정을 요구하면서 두산그룹의 사업 지배구조 개편에 제동이 걸렸다. 두산로보틱스가 '알짜 기업' 두산밥캣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양사의 주식의 합병 비율을 두고 소액주주의 반발이 이어지자 금융 당국이 조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SK이노·E&S 합병 안건과 함께 17일 이사회 논의 예정탱크터미널 기업 SK엔텀, 시황 영향 없이 안정적 수익미래 먹거리 SK온, 배터리 보릿고개에 자금 확보 총력
skon 20240716
SK이노베이션이 배터리 사업 자회사 SK온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이종 자회사 간 합병을 추진한다. 모기업인 SK이노베이션과 현금 창출 능력이 뛰어난 SK E&S 간 합병과 함께 석유 사업 부문 알짜 계열사를 SK온과 통합해 배터리 사업 설비투자를 위한 자금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OECD, '한국경제보고서'에서 올해 성장률 2.6% 전망반도체 수출이 성장 견인, '제조업 수출 전략' 유지해야저출생 등 현안 해소하면 연평균 1%p 추가 성장 기대
birth 2024071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 경제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반도체 등 핵심산업의 수출 호조를 앞세워 성장을 재개할 것이란 분석이다. 다만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 탄소 감축, 인구 감소 대응 등의 현안을 개선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특히 저출생과 생산인구 감소 등 인구구조 변화와 관련해 휴직급여 상향, 연금 개혁 등을 구체적인 정책 과제로 제시했다.
6월 소비자물가 당초 예상치 하회하며 마이너스 문턱생산자물가도 21개월째 하락세, '디플레' 우려 현실화내수 침체로 재고 쌓여, 글로벌 시장에 밀어내기 수출
deflation 20240711
중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밑돌며 마이너스를 눈앞에 뒀다. 생산자물가지수(PPI)도 21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벗어나지 못하면서 사실상 디플레이션에 진입했다는 진단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이 내수 침체로 쌓인 재고를 해외 시장에 내놓으면서 중국산 초저가 제품의 공세에 전 세계 주요 산업에서 '2차 차이나 쇼크'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긴축 정책 유지하며 수익성 회복, 자본비율도 개선코로나 팬데믹 이후 쌓인 드라이파우더, 투자처 물색리밸류에이션 흐름, 강화된 주주환원 정책 등도 영향
bank_FE_20240319
코로나19 팬데믹과 고금리 장기화로 위축됐던 유럽 은행의 인수합병(M&A) 시장이 유럽중앙은행(ECB)의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투자 심리가 개선되면서 활기를 띠고 있다. 유럽 주요 은행들이 수익성 회복에 힘입어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는 데다 유럽 투자자들의 드라이파우더(미소진 자금)도 넉넉해 당분간 유럽 은행권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7월 1주차 서울 아파트값 0.2%p 상승, 전국 0.03% 올라서울에서 가장 크게 오른 지역은 성동구, 올해 들어 2%↑9억 이하 아파트 거래 늘고 30대 매수자 비율 40대 추월
apartment_up_and_down_FE_20240529
서울 아파트값이 15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강남 3구가 상승 폭을 키운 가운데 용산구, 성동구 등의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성동구는 서울에서 가장 집값이 많이 오른 지역으로 올해 들어 2%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과 신생아 대출 특례 등 정책 대출 확대가 집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발표, 연초보다 낙관적 전망지난해 성장률 1.4%의 '2배', 한은·IMF 전망치보다 높아민간소비·건설투자 등 내수는 부진, 수출은 빠르게 회복
growth 2024070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올해 경제 성장률을 종전 전망치보다 0.4%p 올린 2.6%로 조정했다. 예상보다 빠른 수출 회복세를 반영해 한국은행, 국제통화기금(IMF) 등이 제시한 전망치보다 올려 잡았다. 다만 그간 누적된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올해 내수 시장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민간소비, 건설투자 등 전망치는 제자리를 유지했다.
야놀자·셀트리온홀딩스 등도 연내 나스닥 상장 추진풍부한 유동성에 자금 조달 용이해 뉴욕증시로 선회'박스권' 코스피, 금투세 등 국내 투자 심리 위축시켜
webtoon 20240624
네이버웹툰이 상장 첫날 시가총액 4조원에 도달하며 미국 나스닥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3년 전 쿠팡을 시작으로 국내 기업의 나스닥 상장이 물꼬를 튼 가운데 현재 야놀자, 셀트리온홀딩스, 두나무 등이 나스닥 상장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가치를 온전히 인정받을 수 있고 풍부한 유동성으로 자금 조달에 용이하다는 점이 뉴욕 증시로의 선회를 이끄는 배경이다.
지난해 말 기준 외국인 보유 주택 1,895만 가구국내 주택 소유한 외국인 9만 명 중 중국인 55%외국인 집주인과의 임대차 계약도 역대 최대 기록
apartment_20240207
최근 국내 부동산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외국인들의 국내 부동산 매입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인의 비중이 전체 거래의 과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외국인에게는 부동산 규제를 적용하지 않는 한국으로 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분석된다.
가격협상 과정에서 이견 좁히지 못해 결국 인수 불발우리금융, 롯데손보 대신 동양·ABL생명 인수 급선회 롯데손보, 외국계 투자자와 가격 협상에서 불리해져
news p.v woori 001 20240628
우리은행 본사/사진=우리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가 비은행 포트폴리오 확대 작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던 롯데손해보험 인수전에서 철수했다. 가격협상 과정에서 2조원대를 희망하는 JKL파트너스와 오버페이는 하지 않겠다는 우리금융 간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결국 우리금융은 동양·ABL생명 인수로 선회했다.
씨티그룹 트레이더, 매도 주문 입력 실수5,800만 달러를 4,400억 달러로 입력해주요 주가지수 폭락, 유럽 증시 혼란 야기
fatfinger 2024062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글로벌 금융사인 씨티그룹이 일명 '팻핑거(fat finger)' 실수로 영국과 독일 금융당국으로부터 1,282억원의 벌금을 물게 됐다. 지난 2022년 주식 매도 과정에서 직원의 실수로 금액을 잘못 입력하면서 시장에 혼란을 야기했다는 것이다. 실제 사건 당일 유럽의 증권거래소에서 주요 주가지수가 급락하고 일부 시장에서는 거래가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저축은행 예금 금리, 1년 6개월 만에 1.87%p 급락같은 기간 시중은행 0.46%p 하락, 최고 금리 3.9%5,000억원 적자에 부동산 PF 부실로 '건전성' 우려
BANK_loan_FE_20240530_002
최근 저축은행의 예금 금리가 시중은행보다 빠르게 떨어지며 '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저축은행의 예금 금리는 현재 3%대 중반까지 내려간 데 반해 시중은행에는 금리 4%가 넘는 예금 상품이 남아 있다. 지난해 5,000억원대 손실을 기록한 저축은행들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건전성마저 악화하고 있어 금리 경쟁에서 한발 물러선 모습이다.
생명·손해보험 모두 판매하는 '제3보험' 경쟁 심화단기납 종신 열풍 시들, '암 종신' 유사 상품 쏟아져보험 비교·추천 서비스 출시, 자동차보험 지각변동
insurance FE 20240620
보험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보험업계의 유사 상품 출시가 이어지고 있다. 한 보험사가 파격 상품을 선보이면 다른 보험사도 해당 요소를 차용해 유사 상품을 출시하는 식이다. 특히 최근에는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가 모두 판매할 수 있는 건강보험 등 '제3보험' 시장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네이버 자회사 스노우 지분 투자에 SK·삼성·신한銀 수주 실적2020년 설립 4년 만에 기술특례 상장으로 코스닥 입성에 성공


제이시스메디칼 최대 주주 지분 26% 인수잔여 지분 72%, 주당 1만3천원 공개 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