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은행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 10년 來 최고
벼랑 끝 다중채무자들, 문턱 낮은 카드 대출로 몰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creditcard_delinquency_FE_001_20240529.webp)
![](/sites/default/files/image/2024/11/BOK_FE_001_NEW_20240528.webp)
2021년 이후 물가 누적 상승률 12.8%, 10년 전 3배 육박
빚 많이 낸 30대 전세 세입자 및 60대 이상 타격 가장 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K-bank_netprofit_FE_20240528.webp)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 5배 증가, 케이뱅크 외형성장 가시화
케이뱅크 IPO 염원 이루나, "실적 좋은 데다 IPO 시장도 상승기"
우리은행은 '후일 찾기', "사실상 케이뱅크 상장 성공 전제로 둔 듯"
![K-bank_netprofit_FE_20240528](https://cdn.giai.org/giaikr.image/2024/05/K-bank_netprofit_FE_20240528.png)
케이뱅크가 올 1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금리 및 상품 혜택 강화, 안전자산 중심의 포트폴리오 강화 등으로 경쟁력을 높인 결과다. 이에 일각에선 1분기 실적이 케이뱅크의 IPO(기업공개) 도전에 분수령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우리은행이 케이뱅크 상장 성공을 전제로 인터넷은행 '갈아타기'를 타진하는 가운데 케이뱅크의 IPO 염원이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NBFI_20240527-1_FE.webp)
내달 PF 신디케이트론 가동, 은행권 부담 8,000억원
PF 리스크에 허덕이는 제2금융권, 충당금 '폭탄'
서울 중심으로 상승하는 집값, 시장 회복 본격화 움직임
![pf_20240527](https://cdn.giai.org/giaikr.image/2024/05/pf_20240527.webp)
은행권이 금융당국의 주문에 따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연착륙 지원에 약 8,000억원을 출자할 예정이다. 부동산 PF 부실 리스크를 중심으로 금융권의 자금 지출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다만 국내 부동산 시장이 점차 회복의 조짐을 보이고 있는 만큼, 일각에서는 금융권의 PF 관련 비용 부담 역시 조만간 해소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도 흘러나온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class101_20240527.webp)
클래스101, 영업손실 이어져 자본잠식 상태
탈잉, 수익성 개선 위해 강도 높은 구조조정
B2B 전환, 구독경제 도입 등 생존전략 모색
![class101_20240528](https://cdn.giai.org/giaikr.image/2024/05/class101_20240528.jpg)
완전 자본잠식에 빠진 온라인 강의 구독 플랫폼 '클래스101'이 자금 수혈에 나섰다. 현재 회사와 투자자들은 기업가치 300억원 수준에서 투지 유치를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전 라운드에서 책정된 기업가치가 3,000억원임을 감안하면 10분의 1토막이 난 셈이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BOK_FE_001_20240524.webp)
5월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연 3.5%로 동결
연준 매파 유지 및 원달러 환율 급등 이슈 영향
수출· 내수 호조에 경기 침체 막을 명분 사라져
![BOK_FE_20240524_001_new](https://cdn.giai.org/giaikr.image/2024/05/BOK_FE_20240524_001_new.jpg)
한국은행이 올해 상반기 열린 마지막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긴축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6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사실상 사라진 데다, 우리나라 성장 전망도 높아지면서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진 영향이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Mutual-Banking_FE_20240524.webp)
상호금융권 수신 잔액, 1개월 만에 8조7,695억원 증가
고금리 상품으로 소비자 수요 끌어모아, 지방 노령층 '정조준'
잇따르는 상호금융권 내 금융 사고, 원인은 어디에
![Mutual-Banking_20240524](https://cdn.giai.org/giaikr.image/2024/05/Mutual-Banking_20240524.jpg)
농·수·신협 등 상호금융권에 '뭉칫돈'이 흘러 들어가고 있다. 시장 금리 상승세가 꺾이며 시중은행 예·적금 금리가 하락하는 가운데, 보다 높은 금리를 찾는 소비자들의 수요가 상호금융으로 이동한 결과다. 상호금융권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공격적으로 오프라인 점포를 확대, 소비자 수요에 적극 대응하는 양상이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money_KR_JP_FE_20240523.webp)
2022년 평균 4만8,922달러, OECD 회원국 중 19위
20년 새 대기업 임금 158%, 중소기업 111% 올라
日 같은 기간 대기업 임금 감소, 중소기업 7% 인상
![money_20240523](https://cdn.giai.org/giaikr.image/2024/05/money_20240523.jpg)
한국 근로자의 평균임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90%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OECD 회원국 중 19위로 25위를 기록한 일본을 앞질렀다. 10년 전 한국이 일본을 추월한 이후 양국의 임금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특히 대기업의 임금이 크게 올라 중소기업과의 격차가 두 배 이상으로 벌어진 점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Federal-Reserve-System_FE_20240502_0.webp)
5월 FOMC 의사록 공개, '금리 인하 지연' 강력 시사
다수 연준 위원들 '금리 인상 가능성' 주장하기도
![](/sites/default/files/image/2024/11/2024_05_khi_FE_20240522.webp)
주택건설업체 관계자 83% "최소 1년은 경기 침체 이어질 것"
규제 완화 기대감 하락에 기준금리 동결 흐름까지, "주택시장 진입 문턱 여전히 높아"
금리 인하 지연에 주담대 금리 상승 분위기 확산, 인터넷은행도 평균 금리 연 4%대
![2024_05_khi_FE_20240522](https://cdn.giai.org/giaikr.image/2024/05/2024_05_khi_FE_20240522.jpg)
주택경기 침체가 최소 1년 후에나 회복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총선 이후 여소야대 정국이 이어지면서 규제 완화 기대가 꺾인 데다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마저 높아진 탓이다. 지난 1분기에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이 상승하는 등 오름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이는 억제돼 있던 거래가 일부 회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국지적 현상에 불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선이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Kurly_FE_PCJ_20240522.webp)
외형·내실 모두 잡았다? 비용통제에 사상 첫 분기 흑자 달성한 컬리
일각선 비판 여론도, "마케팅 축소 등으로 사실상 매출 버린 것"
쿠팡 대비 경쟁력 하락 수순, IPO 재도전에도 악재로 작용하나
![Kurly_FE_PCJ_20240522](https://cdn.giai.org/giaikr.image/2024/05/Kurly_FE_PCJ_20240522.jpg)
컬리가 올 1분기 외형과 내실을 모두 잡았단 평가를 받았다. 수익 다각화에 더해 구조개선을 통한 비용통제에 성공한 것이다. 다만 일각에선 이를 마냥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는 견해도 나온다. 컬리의 실적 개선은 마케팅 비용 축소 등 사실상 매출 성장을 포기하면서 얻어낸 성과라는 시선에서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SK_rebalancing_FE_20240521.webp)
中 식품 유통 기업 '조이비오', 인수 5년 만에 매각
SK그룹 '사업 구조 재편' 맞물려 비핵심 사업 철수
中 시장 겨냥한 조이비오 합작펀드는 유지로 가닥
![SK_rebalancing_FE_20240521](https://cdn.giai.org/giaikr.image/2024/05/SK_rebalancing_FE_20240521.jpg)
SK그룹 지주회사인 SK㈜가 중국의 식품 유통 기업인 조이비오(joyvio)의 지분을 인수 5년 만에 매각한다. 그룹 전체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최적화하는 이른바 '리밸런싱(rebalancing)' 작업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조이비오는 SK그룹과 함께 1,000억원 규모의 투자 펀드를 조성하는 등 중국 대체식품 시장을 적극 공략했지만 실적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결국 매각 대상에 이름을 올렸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ETF_FE_20240521_002.webp)
2015년 상장 실패한 교보생명에 어피너티, 주당 41만원에 풋옵션 행사
신 회장 "FMV 너무 과해, 저출생·고령화 여파에 따른 성장 약화 고려해야"
![](/sites/default/files/image/2024/11/USA_CN_tariff_FE_20240520.webp)
대중국 관세폭탄과 미국 인플레이션의 상관관계 분석 잇따라
골드만삭스"관세율 1%포인트 올라가면 물가 0.1%P 오른다"
IMF, 미중 무역 극에 달할 경우 전 세계 GDP 7% 손실 가능성도
![USA_CN_tariff_FE_20240520](https://cdn.giai.org/giaikr.image/2024/05/USA_CN_tariff_FE_20240520.jpg)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전기차·반도체 등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폭탄을 던지면서 관세와 인플레이션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전략 산업 보호와 일자리 확대를 위한 대중 관세가 오히려 미국 소비자의 부담을 키우고 경제 생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힘을 얻는 가운데, 미중 갈등이 세계 경제성장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는 경고도 나온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it_service_20240520_FE.webp)
LG CNS, 2022년 한 차례 IPO 시장 진출 실패
이어지는 호실적으로 상장 동력 갖췄다
NDR 진행하며 상장 시동 건 LG CNS, 추후 IPO 향방은
![lg_cns_20240520](https://cdn.giai.org/giaikr.image/2024/05/lg_cns_20240520.jpg)
지지부진하던 LG CNS의 기업공개(IPO)에 본격적으로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지난해 LG CNS가 5조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며 '역대급 실적'을 기록한 만큼, 추후 상장을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LG CNS 측은 지난달 해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비공개 논딜로드쇼(NDR)를 진행하는 등 IPO 재도전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SAVINGS_BANK_FE_001_20240517.webp)
올해 1분기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 8.8%, 지방은 더 심각
금감원, 자본조달계획 마련 주문 및 NPL 매각 채널 확대
![](/sites/default/files/image/2024/11/dgb_FE_20240517.webp)
7번째 시중은행 인가, 32년 만에 새 시중은행 탄생
금융위, 은행권 경쟁 촉진해 독과점 개선효과 기대
인터넷銀·지방銀 장점 결합, 중금리 대출시장 공략
![dgb_20240515](https://cdn.giai.org/giaikr.image/2024/05/dgb_20240515.jpg)
대구·경북권을 거점으로 하는 지방은행인 DGB대구은행이 '전국구'를 영업 단위로 하는 시중은행으로 전환한다. 1992년 평화은행 인가 이후 32년 만에 새로운 시중은행의 출범이자 신한·우리·하나·한국씨티·KB국민·SC제일은행에 이은 7번째 시중은행이다. 지난해부터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독과점 체제를 개선하기 위해 신규 은행 인가를 추진해 왔다. 대구은행이 중금리 대출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만큼 신용 리스크 관리가 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USA_CPI_FE_20240516_MAIN_007.webp)
美 CPI 둔화에 연준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 다시 대두
뉴욕 3대 지수 역대 최고치, 월가 9월 금리 인하 '베팅'
여전히 높은 주거비, 기대 인플레 수치 등 '낙관론' 경계도
![USA_CPI_FE_20240516](https://cdn.giai.org/giaikr.image/2024/05/USA_CPI_FE_20240516.jpg)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개월 만에 둔화세로 돌아섰다. 이에 시장에서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올 하반기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특히 오는 9월 금리 인하 확률이 75%로 확대되는 등 기대감이 되살아나면서 미국 3대 증시가 일제히 역대 최고치를 찍기도 했다. 다만 연준이 목표로 하는 물가 수준에 도달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금리 인하에 신중히 접근할 것이라는 견해도 나온다.
![](/sites/default/files/image/2024/11/asiana_air_EC_FE_20240516.webp)
에어프레미아·에어인천·이스타항공 3파전, 아시아나항공 화물의 주인은
'큰 손' MBK파트너스 끌어들인 에어프레미아, 일정 지연도 MBK 영향?
![](/sites/default/files/image/2024/11/CET1_FE_20240515.webp)
2013년 JB금융그룹 '서남권 최초의 금융지주사'로 출범
2014년 더커자산운용 인수 후 종합자산운용사 전환 타진
정량 기준 모두 충족하지만 'JB 호주NDIS펀드' 등 걸림돌
![CET1_20240515](https://cdn.giai.org/giaikr.image/2024/05/CET1_FE_20240507.webp)
2014년 출범한 JB자산운용이 종합자산운용사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변수는 남아 있다. 현재 운용하는 펀드 규모 등 정량적 기준은 모두 충족했지만 2019년 발생한 'JB 호주NDIS펀드' 이슈 등 법정 분쟁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Pagination
- First page
- Previous page
- …
- 15
- 16
- 17
- 18
- 19
- …
- Next page
- 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