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FOMC 앞두고 연준 방문한 트럼프, 파월에 "금리 내려라" 공개 압박
Picture

Member for

9 months 1 week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트럼프, 연준 방문해 청사 리모델링 논란 등 지적
"파월이 금리 인하해줬으면 좋겠다" 노골적 요구
다가오는 7월 FOMC, 금리 인하 가능성은 낮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목전까지 다가온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준 본부에 직접 발걸음했다. 파월 의장과 만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고개를 든 연준의 '청사 리모델링 비용 논란'에 대해 지적하고, 그에게 공개적으로 기준금리 인하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연준 본부 찾아가

24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 본부 청사 개·보수 공사 현장을 둘러본다는 명분을 앞세워 연준을 방문했다. 미국 대통령이 연준을 직접 찾는다는 것은 전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이례적인 상황이다. 이 자리에는 파월 의장을 비롯해 팀 스콧, 톰 틸리스 공화당 상원의원, 러스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국장, 빌 풀트 연방주택금융청(FHFA) 청장, 트럼프가 임명한 국가수도계획위원회 위원 등이 동행했다.

공사 현장용 안전모를 쓰고 입장한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을 옆에 세워둔 채 “내가 여기에 방문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예산 초과 문제다"라며 "왜 그런 일이 벌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최근 보트 OMB 국장, 백악관 부비서실장 제임스 블레어 등 트럼프 행정부 고위 인사들은 연준 본부의 개·보수 프로젝트가 예산을 초과했다고 지적하며 이를 파월 의장 해임의 명분으로 삼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 역시 청사 지하층 건설로 인해 투입 예산이 증가했다는 점을 거론하며 “(투입된 리모델링) 예산이 약 31억 달러(약 4조2,585억원) 정도인 것 같은데, 27억 달러(약 3조7,200억원)였던 게 31억 달러가 됐다”고 꼬집었다. 이에 파월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 옆에서 고개를 가로저으며 “그런 말은 연준 내 누구에게서도 들은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양복 안주머니에서 문서를 꺼내 보이자, 파월 의장은 안경을 쓰고 내용을 확인한 뒤 “그 수치는 5년 전에 이미 완공된 길 건너편 제3의 건물까지 포함한 것”이라고 정정했다.

"금리 1% 이하로" 기존 주장 반복

주목할 만한 부분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현장 방문을 끝낸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파월 의장의 해임이 불필요하다고 발언했다는 점이다. 그는 “그건(해임은) 매우 큰 조치이고, 나는 그럴 필요가 있다고 보지 않는다”며 기존과는 다른 입장을 드러냈다. ‘파월 의장이 어떤 말을 하면 비판을 멈출 것이냐’는 기자의 질문엔 “글쎄, 나는 그가 금리를 인하해 줬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 파월 의장은 웃음을 지을 뿐 별다른 확답을 내놓지 않았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의 금리 인하와 최근 이어지는 관세 협상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이라는 인식도 내비쳤다. 그는 "우리는 금리가 내려가기를 원한다"며 "우리나라는 호황이고, 금리가 (경기 부양의) 마지막 단계"라고 짚었다. 이어 "금리가 높으면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우리는 이미 잘하고 있지만, (금리를 낮추면) 우리는 로켓처럼 날아오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더해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낮은 금리를 가져야 한다"며 "금리를 1%까지 내린다면 1조 달러(약 1,377조9,000억원)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고도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준금리를 1% 이하까지 끌어내려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는 지난 14일 백악관 신앙사무실 오찬 행사 연설에서도 “(미국의) 경제는 활황이고 기업 신뢰도는 급등했다”며 “소득은 증가했고, 물가는 하락했으며, 인플레이션은 없어졌다”고 진단했다. 이어 “기준금리는 1%보다 낮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높은 기준금리 탓에 연방정부가 갚아야 할 국채 이자 부담이 커졌다고도 지적했다. 기준금리가 1%P 높아질 때마다 약 3,600억 달러(약 496조440억원)의 추가 비용이 든다는 분석이다.

금리 인하 '재료' 부족해

트럼프 행정부의 금리 인하 압박이 꾸준히 심화하는 가운데, 시장은 오는 29~30일 개최될 7월 FOMC 회의의 향방에 촉을 곤두세우고 있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4.50%로 인하한 뒤, 지난달까지 올해 네 차례 열린 FOMC 회의에서 모두 금리 동결을 택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연이은 독촉에도 불구하고 독립적인 판단 기준을 우선시한 것이다.

시장에서는 이번 FOMC에서 연준이 금리 인하 조치를 단행할 가능성은 사실상 낮다고 보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 지표들이 대부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7일 미국 상무부는 6월 미국의 소매 판매가 전월 대비 0.6% 증가한 7,201억 달러(약 992조2,260억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0.2%), 로이터(0.1%), 블룸버그(0.1%) 등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실물 경제 상황의 가늠자로 꼽히는 고용 시장 역시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는 양상이다. 24일 미국 노동부는 7월 13~19일 기준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1만7,000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직전 주 대비 4,000건 감소한 수준이자, 4월 6~12일(21만6,000건) 이후 3개월 만에 최저치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22만7,000건)도 밑돌았다.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6주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9 months 1 week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