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세화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지난 10년간 프로 스포츠 시장에서 구단 소유와 관련한 규정들이 완화되면서 미국의 사모펀드(PE) 자본이 주요한 딜메이커로 등장했다. 그동안 미국 스포츠팀의 가치는 S&P500보다 빠르게 상승했고 이들은 각 리그의 인기 구단을 인수하면서 프로 스포츠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 특히 유럽 축구 5대 빅리그의 클럽에 대한 투자 거래가 대폭 증가했다. 시작은 2005년 미국 스포츠 재벌 말콤 글레이저(Malcolm Glazer) 가문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Manchester United FC)였다. 20년 전만 해도 유럽 축구 클럽은 대부분 억만장자 개인이 소유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축구 클럽의 매출이 증가하면서 미국의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은 것이다.
지난 11일 미국의 PE(사모펀드) 기업 제너럴 애틀랜틱(General Atlantic)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업공개(IPO)를 위한 신청서를 제출했다. 제너럴 애틀랜틱은 시장 상황에 따라 이르면 내년 초에 상장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올 한 해 미국의 벤처투자 시장은 미 연방준비위원회(Fed·연준)의 금리 인상 결정에 따른 유동성 축소, 실물경기 둔화 전망,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지난해 4분기부터 VC(벤처캐피탈) 투자가 위축되면서 올해 3분기 기준 투자 총액이 2년 연속 감소했다. 3,200여 개의 스타트업이 문을 닫았고 270억 달러(약 35조원) 이상 규모의 펀딩이 사라졌다. LP(출자자)들도 자산가치가 크게 하락하면서 투자 수익이 감소했다.
2년 전만 해도 PE(Private Equity) 시장의 초호황으로 사모펀드(PEF), 벤처캐피탈(VC) 등을 중심으로 한 재무적 투자자(FI)들이 높은 투자 수익을 올렸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정책 자금이 투입됐고 시장의 유동성이 풍부해지면서 펀드 결성부터 투자금 회수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최적의 환경이 조성된 영향이다. 이 시기 인수합병(M&A), 주식 등 자본시장이 활기를 되찾으면서 투자 운용사들의 실적이 고공행진했고,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 업종들도 만족스러운 성과를 거뒀다.
캐나다의 사모펀드(PE) 운용사 킨테라 캐피탈(Kinterra Capital)이 최근 미국, 캐나다, 호주의 전기차 배터리 핵심광물 채굴사업에 5억 달러(약 6,400억원)가 넘는 자금을 투자했다. 이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인해 중국 내 핵심광물 생산시설의 이전 가능성을 고려한 결정으로 보인다.
지난 6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미국 뉴욕에서 세계적인 투자 컨퍼런스 ‘슈퍼리턴 노스아메리카 2023(SuperReturn North America 2023)가 개최됐다. 해당 컨퍼런스에는 사모시장의 글로벌 리더와 주요 기관 투자자들이 참석해 자산배분, 마켓 디스로케이션(시장 혼란) 상황에서의 자금 조달, 공동 투자 등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이틀째 날에는 최근 급성장한 세컨더리 시장과 관련해 거래를 주도하는 GP(위탁운용사)와 이에 대응하는 LP(출자자)의 운용 전략을 주제로 패널토론이 진행됐다.
미국 아이비리그의 대학들이 투자 수익 악화로 인해 기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 아이비리그 대학의 2022 회계연도 기금운용 수익은 최근 10년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최근 사모자산에 대한 밸류에이션이 이뤄지고 있어 수익률을 회복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 불황과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면서 기업들의 부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사모펀드(PE)로부터 투자를 받은 기업들이 당장 재정 위기에 직면하지는 않았지만 이들의 부채 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투자사들은 대출금 상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미국 마이애미에 본사를 둔 사모펀드(PE) 777파트너스(777 Partners)가 5억5,000만 파운드(약 890억원)에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축구팀 에버턴(Everton FC)를 인수했다. 지난 15일 에버턴은 공식 성명을 통해 "777파트너스가 파하드 모시리(Farhad Moshiri)가 보유한 에버턴 주식을 전부 인수한다"고 밝혔다.
최근 유한책임투자자(Limited Partner, LP)들은 펀드의 약정 조건을 정하는 데 있어 자신들의 성과보수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간의 연계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글로벌경영컨설팅사 PwC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펀드운용사들은 ESG 관련 자산을 2021년 18.4조 달러(약 2경3,920조원)에서 2026년까지 33.9조 달러(약 4경4,070조원)로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21일(현지 시간) 일본 소프트뱅크가 소유한 영국의 팹리스 기업 ARM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나스닥 직상장을 위한 서류를 제출했다. ARM은 내달 중 IPO(기업공개)를 끝마치고 나스닥 상장 준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ARM의 예상 기업가치는 최대 94조원으로, 올해 미국 IPO 시장의 최대어로 꼽힌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중국의 첨단 반도체, 양자컴퓨팅, AI 분야에 대해 투자를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중국의 사모펀드는 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해왔지만 최근 미국이 대중국 수출규제를 강화하면서 투자가 위축되고 있다.
신속한 배치 전략을 사용해 자금 모금을 한 신규 투자자의 성공에 특효약은 없지만 올해 비교적 순조롭게 첫 자금을 마무리한 전문 투자자들을 보면 거래를 찾아 자본을 신속히 배치하는 검증된 능력으로 자금을 조달했거나, 공동 투자 기회를 제공하거나 포커스 받는 분야 및 지역 전문가로서 두각을 나타낸 사람들이다.
올해 들어 유럽의 사이버보안기업에 대한 사모펀드 투자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7월 말 기준 거래액은 47억 달러(6조1천억원)로 올해 전체 거래액은 지난해 거래액 76억 달러(9조8천억원)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반면 미국은 사이버보안기업에 대한 사모펀드 투자가 전년 대비 급감했다. 7월 말 기준 거래액은 46억 달러(5조9천억원)로 지난해 거래액 509억 달러(66조2천억원)의 10분1에도 미치지 못다.
지난 3월,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이 대규모 예금인출로 인한 자본 잠식으로 파산했다. 캘리포니아 금융당국이 유동성 부족과 지급 불능을이유로 직권 폐쇄 조지한 이후 SVB는 유동성 대책을 발표했지만 결국 36시간만에 파산했다. 이후 두달동안 4개의 은행이 파산하거나 매각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은행시스템의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지난 3월 전 세계 금융시장을 긴장하게 한 미국 실리콘밸리 은행(SVB) 등의 뱅크런 사태가 트위터로 인해 촉발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소셜미디어로부터 시작된 금융위기에 대한 공포는 은행권의 플래시 크래쉬(flash crash)를 유발하면서 SVB를 파산으로 몰고 갔고 유럽의 글로벌 투자은행(IB) 도이치방크 등 대형 은행들도 위기설이 대두됐다.
최근 기록적인 인플레이션, 높은 이자율, 암울한 경제 전망으로 인해 소수의 메가펀드에 자금이 몰리면서 사모펀드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피치북(PitchBook)이 발표한 ‘2분기 유럽 사모펀드 동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유한파트너(Limited Partnership, LP)들은 50억 유로 이상의 메가펀드에 241억 유로를 투자했다. 해당 기간 투자금 총액 480억 유로의 거의 절반 수준이다.
지난달 27일(현지 시간), 유럽중앙은행(ECB)이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25bp(1bp=0.01%p) 올린 4.25%로 확정했다. ECB는 지난해 7월부터 이달까지 총 9회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했으며 해당기간 중 인상폭은 425bp로 유로 창설 이후 가장 빠른 속도다.
지난 7월 27일 알레시 미칠(Aleš Michl) 체코중앙은행(CNB) 총재는 체코 상원에서 열린 "2022년 금융시장 관리·감독 현황 보고" 브리핑에 참석해 "현재의 높은 물가상승률을 고려할 때 금리인하는 아직 시기상조"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연간 물가상승률을 2%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만약 향후 내수가 과도하게 늘어나 국내 소비가 급격히 증가할 경우 오히려 금리 인상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