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서지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미국 뉴욕포스트는 18일(현지시간) SNS를 중심으로 맥도날드의 '필렛 오피쉬' 메뉴의 슈링크플레이션 의혹이 확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고물가로 인해 각국 기업이 수익성 확보에 난항을 겪는 가운데, 업계 전반의 슈링크플레이션 사례가 속속 수면 위로 드러나는 양상이다.
21일 위니아는 매각주간사로 삼일회계법인을 선정, 신속한 M&A 절차를 밟는다고 밝혔다. 회생법원의 M&A 절차 진행 승인에 따라 회생절차 기간 최소화에 착수한 것이다. 대유위니아그룹 전반이 자산 매각에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위니아는 성공적으로 새 주인의 품에 안길 수 있을까.
침체기를 맞이한 홈쇼핑 업계가 '수장 교체' 카드를 꺼내들었다. 이외로도 송출 플랫폼 중심축을 이동하고, 자체 콘텐츠를 강화하는 등 '생존'에 총력을 기울이는 양상이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이 같은 노력이 오히려 늪에서 발버둥을 치는 격이라는 비관적 분석이 나온다.
고물가와 고금리로 세계 경제 전반이 가라앉은 가운데, 우리나라를 포함한 각국의 내년도 경제 전망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0일 물가안정 목표 설명회 기자간담회에서 IT 부문을 제외하면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1.7%에 그칠 것이라고 발언했다.
LG화학의 미국 테네시주 소재 양극재 공장이 19일 첫 삽을 떴다. LG화학은 해당 공장에서 2026년부터 연간 6만 톤 규모의 양극재 생산에 착수할 예정이다. GM과의 보조금 관련 논쟁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은 가운데, 과연 LG화학은 무사히 미국 시장에서 기반을 다질 수 있을까.
아파트 분양가가 급격히 상승하며 청약통장을 해지하는 이들이 증가하고 있다. 시세 수준까지 치솟는 분양가를 감당할 수 없어 '당첨' 자체가 무의미해지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기준 청약통장 총가입자 수는 2,713만6,195명으로 올 초 대비 60만 명 가까이 줄었다. 지난해 6월 이후 17개월 연속 감소세다. 경제적으로 자리를 잡은 실수요자는 물론, 내 집 마련의 꿈을 키워가야 할 청년층마저 청약통장에서 손을 놓으며 관련 시장 침체가 가속화하는 양상이다
세계 1위 컨설팅 업체로 꼽히는 맥킨지앤드컴퍼니(맥킨지)가 지난 11일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특정 요건을 충족하면 한국의 2040년 GDP가 3조2,000억~3조4,000억 달러(약 4,160조~4,420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한 것이다.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아르헨티나 페소화를 50% 이상 평가절하하고 보조금을 대폭 삭감하는 개혁안을 내놨다. 아르헨티나 경제를 압박하던 만성 재정 적자를 해소하기 위한 '초강수'다. 시장에서는 차후 수입 물가를 중심으로 한 인플레이션 심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GM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크루즈의 자율주행 기술 실험을 중단하고, 관련 비용 지출을 줄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대다수 완성차 업체들이 자율주행 분야 투자를 축소하고, 여타 미래 먹거리 확보에 힘을 쏟는 양상이다.
자동차 시장이 본격적인 '회복기'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27일 '자동차 산업 현황과 2024년 전망' 보고서를 발표,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이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 예년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가운데, 국내 기업이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기획재정부가 기업 배당금 ‘이중과세’를 조정하며 감세 정책을 펼치자, 기업의 '자본 리쇼어링(해외 법인 자금의 국내 반입)’이 거세진 것이다. 특히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등 국내 대기업이 리쇼어링에 적극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의 영향이 일상 구석구석에 번지고 있다. 3개에 1,000원꼴이었던 겨울 대표 간식 붕어빵은 1개에 1,000원까지 가격이 올랐고, 기업들은 가격을 유지하는 대신 조용히 용량을 줄이는 슈링크플레이션(줄어들다란 뜻의 'shrink'와 인플레이션의 합성어) 흐름에 속속 합세하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