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서지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목전까지 다가온 6월 FOMC, 금리 동결 전망 우세ECB 피벗 이후 금리 인하 압박 본격화, Fed의 선택은"美 금리 인하 폭 크지는 않을 것" 시장의 대체적 전망
interest_rate__20240610
전 세계 금융시장의 이목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조정 움직임에 집중되고 있다. 유럽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피벗(통화 정책 전환)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미국 역시 본격적인 금리 인하 압박을 받게 될 것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롯데카드, 보름 만에 신종자본증권 2,000억원 추가 발행 "악재 너무 많이 쌓였다" 자본적정성 지표 줄줄이 악화신종자본증권 확대로 부채 부담 없이 자금 조달 구상
lotte_card_20240603
롯데카드가 올해 들어 두 번째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한다. 앞서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한 지 보름 만이다. 고금리 장기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리스크 등 악재가 누적되는 가운데, 영구채를 통한 자금 조달 규모를 확대하며 '활로'를 찾아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덩치 불린 네이버웹툰, 나스닥 진출 본격화경쟁사 카카오웹툰은 프리 IPO 이후 '감감무소식'변수 산적한 한국 웹툰업계, 상장 후 흐름은?
webtoon_20240603
네이버웹툰이 나스닥 상장 절차에 돌입했다. 전 세계에서 탄탄한 충성 고객층을 확보하는 데 성공하며 실적이 크게 개선된 가운데, 북미 시장 내에서 기업공개(IPO) 움직임을 본격화한 것이다.
더본코리아, 2022년 임직원에게 100억원 스톡옵션 부여2024년 상장 공언한 백종원 대표, 임직원 사기 진작 노렸나외형은 성장했지만 수익성은 악화, 가치 산정 리스크 여전
theborn_korea_20240531
백종원 대표가 이끄는 더본코리아가 2년 전 임직원에게 대규모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업계에서는 회사 측이 올해 기업공개(IPO) 가능성을 고려, 선제적으로 임직원의 '사기 진작'에 나섰다는 평이 흘러나온다.
"테슬라보다 많다" 국내 투자자 엔비디아 보관 금액 급증시가총액 3조 클럽 눈앞에 둔 엔비디아, 애플·MS 맹추격美 대형 기술주 경쟁 속 흔들리는 서학개미 투자 심리
NVIDIA_CHIP_20240222
미국의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매서운 주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글로벌 인공지능(AI) 경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AI 인프라 수요를 고스란히 흡수하며 덩치를 불린 결과다. 국내 투자자들은 엔비디아를 비롯한 미국 대형 기술주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고 나섰다.
하나투어, 실적 개선 이후 매각 움직임 본격화구조조정 가능성 커져, 고용 안정 주장하는 노조인수 후보로 떠오른 야놀자, M&A로 매출 성장 노리나
hana_tour_20240529
하나투어의 지분 매각을 주관할 증권사가 선정됐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실적 개선세가 뚜렷해진 가운데, 매각 과정에 본격적으로 속도가 붙는 양상이다. 유력한 인수 후보로는 M&A(인수합병)를 통해 매출을 불리고 있는 글로벌 여가 플랫폼 야놀자가 거론된다.
지난해 5대 시중은행서만 금융사고 36건 발생제도 손질 나선 당국, 내년부터 '책무구조도' 본격 도입배임 사고 잇따르는 NH농협, 지배 구조 논란 수면 위로
BANK_20240524
최근 수년 사이 은행권 내에서 발생한 금융사고가 줄줄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시중은행에서 수십 건의 금융사고가 발생한 데 이어, 올해에는 NH농협은행에서만 3건의 금융사고 발생 사실이 공개됐다. 연이은 사고로 금융권 내 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은 은행들의 내부 통제 구조에 대한 본격적인 경각심을 표출하고 나섰다.
폴 크루그먼 "美 금리 광적으로 혼란스러워" 인플레이션 관련 상황에는 낙관적 시각 드러내관망세 유지하는 Fed, 기준금리 인하는 언제쯤
Paul-Krugman_20240522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Paul Krugman) 뉴욕시립대 교수가 미국 기준금리의 향후 경로를 예측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상황은 일부 안정된 것으로 보이나, 당장 기준금리의 향방을 점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분석이다.
레딧, 오픈AI와 데이터 라이선싱 계약 체결오픈AI, 과거 유튜브·뉴욕타임스 등의 데이터 무단 사용쏟아지는 소송과 시장 비판, '정식 라이선스 계약' 늘었다
reddit_openAI_20240517
미국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이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인공지능(AI) 학습용 콘텐츠 제공 등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오픈AI의 데이터 무단 사용으로 인한 '잡음'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콘텐츠 제공사와의 정식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투명한 학습 데이터를 확보하며 논란의 여지를 차단한 것이다.
미국의 틱톡 강제매각법 제정, 새 주인은 누구프랭크 맥코트, 스티브 므누신 등 큰 손들 줄줄이 참전에릭 슈미트 前 구글 CEO도 "틱톡 인수 검토한 적 있다"
usa_tictok_20240516
미국의 부동산 재벌 프랭크 맥코트가 중국의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 인수를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틱톡에 대한 강제 매각 압박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곳곳에서 사업권 인수 의향을 밝히며 '출사표'를 던지는 양상이다.
에코비트 몸값은 1~2조원? 매각가 하락 가능성 커져"1조원 어떻게 마련하나" 위기에 빠진 태영그룹 자구안매각가 비싸도 상관없다? 거래 우위 점한 KKR
taeyoung_work-out_20240513
태영건설 워크아웃(재무 개선 작업)의 핵심으로 꼽히던 에코비트 매각이 난항을 겪고 있다. 기존 3조원 수준으로 제시된 몸값이 순식간에 미끄러지며 태영그룹의 자구안 실현에 차질이 빚어진 것이다. 업계에서는 추후 에코비트 지분 절반을 보유한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가 매각전 전반의 흐름을 좌우할 것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속속 중국 탈출하는 투자자들, 부동산 시장 흐름 바뀐다"언젠가 중국도 홍콩도 이길 것" 최대 수혜 국가는 인도?피크 차이나론 부정하는 중국, 추가 성장 여지는
china_run_20240510
중국과 홍콩의 부동산 시장이 본격적인 '침체기'에 접어든 가운데, 이들 국가에 머무르던 부동산 수요가 한국 시장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최근 다국적 기업들의 '차이나플러스원'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와중에 한국을 비롯한 일부 아시아 국가가 반사이익을 누릴 것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인 'C레벨' 품은 종목들, 급등 후 폭락 반복해리딩방 통해 투자자들 끌어모은 뒤 차익 실현하는 수법'골든센츄리' 주가 조작 사태 이후로도 피해 이어졌다
stock-price-manipulation_20240507
나스닥 상장사가 국내 세력의 '시세 조종'에 이용당한 정황이 드러났다. 소위 '리딩방(주식 종목 추천 채팅방)'을 통한 투자 사기 피해가 미국 등 해외 증시까지 확산한 것이다. 증권업계에서는 나스닥 상장사의 주주 또는 핵심 임원인 중국계 인사가 이번 시세 조종 사태를 이끌었다는 비판이 흘러나온다.
KDI "수출·금리 상황 고려해 섣부른 내수 부양 지양해야"수출 성장해도 내수는 그대로? 낙수 효과 부족해수출 대기업, 해외에서 번 돈 고스란히 해외에 투자
domestic_demand_20240503
고금리 기조 장기화로 시장 전반이 얼어붙은 가운데, 올해 내로 내수가 회복되기는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진단이 나왔다. 금리 조정 효과 발생까지의 시차, 수출에서 내수로 이어지는 낙수 효과 부족 등이 내수 회복의 장애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이 같은 전망에 근거, 물가 안정세를 흩뜨리는 대규모 내수 부양책은 자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패션업계 이끌던 동대문, 공실률 70% 육박급성장하는 온라인 패션 플랫폼, 이제는 '이커머스 시대'떠오르는 패션테크 스타트업들, 오프라인 상권 설 자리 잃었다
dongdaemun_20240502
과거 ‘패션 1번지’로 불리던 동대문 인근 상권이 가라앉고 있다. 패션업계의 중심축이 온라인으로 이동하는 가운데, 오프라인 도·소매업 중심으로 움직이는 동대문 상권 전반이 몰락할 위기에 놓인 것이다.
3월 주담대 금리 3.94%, 변동형 하락세 거세'주담대 갈아타기'가 은행권 고객 유치 경쟁 촉발한국 경제의 1분기 '깜짝 성장', 금리에 미칠 영향은
interest_down_20240430
가계대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5개월 연속 하락했다. 정부의 '주담대 갈아타기' 서비스 출시 이후 은행권 내 고객 유치 경쟁이 심화한 가운데,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등 주요 지표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금리가 미끄러진 것으로 풀이된다.
3월 PEC 가격지수 2.8% 상승, 여전한 물가 오름세기준금리 인하 기대 꺾이며 국채 금리도 급등침체하는 美 경기 지표, Fed의 기준금리 조정 향방은?
interest_rate_20240426-1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주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폭'이 시장 기대치를 소폭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물가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Fed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대폭 늦춰질 수 있다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국내 증권사, 1분기부터 적극적으로 회사채 발행2분기에도 교보·KB·대신 등 줄줄이 수요예측 진행채권 시장 전반에 불어든 봄바람, 금리 인하 기대 여전
fe_bond_20240419
대형 증권사들이 연초에 이어 2분기에도 회사채 발행에 열을 올리고 있다. 회사채 시장 활황 속 증권채 투자 심리가 일부 완화되자, 우량 증권사를 중심으로 공모 회사채 시장에서 자금 조달을 이어가는 양상이다.
ASML, 지난 1분기 매출 27%·순이익 40% 감소"지금은 내후년 위한 조정기" ASML의 자신감해소되지 않는 중동발 반도체 공급망 리스크
asml_FE_20240418
반도체 핵심 장비 제조사인 네덜란드 ASML이 부진한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지난 분기 수주액이 61% 급감하며 매출과 순이익이 줄줄이 곤두박질친 것이다. 반도체 업황 침체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던 ASML의 성적이 시장 기대를 밑돌자, 여타 반도체 업체 주가 역시 줄줄이 미끄러지는 추세다.
원·달러 환율, 16일 장중 1,400원 터치하며 급등환손실 피해 물량 쏟아내는 외국인, 국내 증시 '휘청'일각선 '차이나 런' 전철 밟을까 우려의 목소리도
fe_kospi_down_20240416
코스피 지수가 매서운 속도로 미끄러지고 있다. 올 1분기 국내 증시 매수세를 주도했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고환율 악재에 부딪혀 줄줄이 등을 돌리면서다. 원·달러 환율이 이날 장중 1,400원을 터치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국내 증시가 본격적인 조정기를 맞이할 것이라는 진단이 흘러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