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이제인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옥석가리기 세분화, ‘부실 우려’ 평가 시 사업정리 유도은행-보험권 보증 34조원·신규자금 5조원 뉴머니 수혈


인플레이션과 싸우는 美 연준, 주택 임대료로 막판 고전임대료 상승률 둔화했지만 물가지표 반영까진 시차 존재경착륙 우려에 미국보다 먼저 금리 인하 단행하는 국가들
Fed_img_dollar_FE_20240513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단행 시기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미국의 주택 임대료 동향이 정책 금리 결정에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미 정부의 공식 물가 지표에서의 주거비 상승세가 예상보다 더디게 둔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연준의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을 끝내기 위한 마지막 마일(last mile)에 대한 우려도 더욱 커지고 있다.
금감원, 농협금융 정기검사 착수 예정, 내부통제·지배구조 중점투자증권 인선 놓고 '중앙회-금융지주' 갈등, 해묵은 문제 재부상


3월 주택 인허가·착공, 전년 대비 뚝1분기 전국 부도 건설업체 9곳 정부, 부동산 PF 연착륙에 속도


한국금융연구원, '취약기업 상환능력 분석' 발표기업 채무 1,900조원, 양은 늘어나고 '질'은 떨어지고체감경기도 양극화, 수출기업 업황은 '개선' 내수는 '악화'
KIF_FE_20240429
기업들이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액이 1,900조원에 육박하는 가운데 상환 능력이 부족한 취약기업의 차입금 비중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수준만큼이나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여파의 직격타를 정면으로 맞은 기업들의 연체율도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는 와중에, 고물가 장기화에 따른 민간소비 부진과 경기 침체까지 겹치며 기업들의 체감경기 양극화도 심화하는 모습이다.
연준 관계자들, 잇따라 '금리 인하 내년 이후'에 무게일부 연준 위원 "필요시 금리 인상할 수 있다" 발언도금리 인상 가능성 대두에 원달러 환율 사흘 만에 반등
Federal-Reserve-System_FE_20240419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이 연일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인플레이션 반등 가능성과 견고한 미국 경제를 고려할 때 기준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필요한 경우에는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도 나오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개입으로 겨우 진정세를 보이던 원달러 환율이 다시금 출렁이고 있다.
뉴욕증시, 금리 인하 멀어지자 줄줄이 하락고금리 유지에 미국 상업용 부동산 부실 위험↑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금리 내릴 때 아냐"
STANDARDPOORS_FE_20240418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를 비롯한 뉴욕증시가 4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무너지면서 고금리 우려가 시장을 압박한 결과다. 좀처럼 꺾이지 않는 고금리 기조에 수년간 채권 만기가 줄줄이 예고돼 있는 미국 상업용 부동산의 부실 위험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금리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상업용 부동산에 청신호가 들어올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분석한다.
예상 뛰어넘은 고물가 지표에 '연내 3회 인하' 입장 선회파월 발언에 달러화 최강세, 2년물 국채 금리 5% 넘기도원·달러 환율 한때 1,400원 돌파, 금리 인하도 불투명
Jerome_Powell_Fed_FE_20240417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기준금리 인하 연기를 시사했다. 미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최근 석 달간 물가 지표마저 예상을 크게 웃돌자 기존의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입장으로 선회한 것이다. 파월 의장의 발언에 미국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5% 선을 돌파했고, 달러는 더욱 강세를 나타냈다. 이에 당초 7~8월로 예상됐던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도 불확실성이 커졌다.
치솟는 원달러 환율, "1,400원 지붕 뚫리나"Fed 금리 인하 지연에 중동 전쟁 우려까지 겹쳐


페퍼저축은행 지난해 순손실 1,000억원대, '업계 최대'지난해 79개 저축은행 총 순이익 '마이너스'로 돌아서


강성 거대 야당 탄생, 22대 국회 여야 관계 '험로' 전망금투세 폐지 등 윤 정부 감세안들 줄줄이 좌초 위기밸류업도 제동 걸릴까, 코스피 2,700선 붕괴하기도
Financial-investment_001_FE_20240411
제22대 총선에서 야당인 민주당이 대승을 거두면서 그간 정부·여당이 주도해 온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동력을 잃을 것으로 전망된다. 증시 세제 개편은 법 개정 사안인 만큼 거대 야당이 ‘부자 감세’ 반대를 내걸고 제동을 걸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여기에 윤석열 대통령의 레임덕(권력 누수)까지 겹칠 경우 정부의 금융 정책 추진력이 더욱 약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미 월가의 황제, 미 경기 낙관론 경계 "금리 급등 가능성 경고"예상보다 인플레 높게 유지될 수도, 금리인하 대신 8%로 인상도 가능


합병 시초가 대비 절반도 안 되는 가격에 거래실적 기반 얕은 기업 대다수, 상장 자체에 목적


임씨 남매 사촌들, 주주총회서 막판 형제 측 지지
모녀 vs 형제 분쟁, 결국 형제 측 승리로 막내려
상속세 납부 및 신약 개발 R&D 재원 마련 숙제
hanmi_bro_FE_20240402
3월 28일 경기 화성시 신텍스(SINEX)에서 열린 제51기 한미사이언스 정기주주총회 참석 중인 임종윤(왼쪽) 한미사이언스 사장과 임종훈(오른쪽) 한미정밀화학 대표의 모습
한미약품그룹 경영권 분쟁에서 송영숙 회장의 특별관계인으로 분류됐던 고 임성기 창업주의 조카들이 형제 측 손을 들어주면서 임종윤 전 한미약품 사장의 경영복귀가 확정됐다.
1990년 이후 34년 만에 엔화 가치 최저치 기록
견고한 강달러 및 미온적 통화긴축 기조가 원인
엔·달러 환율 155엔 넘으면 실개입 나설 수도
yen_dollar_fe_20240328
엔화가 달러당 152엔에 근접하며, 버블 경제 시절이던 1990년 이후 약 34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지난 19일 일본은행의 마이너스 금리 해제를 계기로 엔화 약세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예상과는 반대로, 엔저 고삐가 풀린 모양새다. 시장은 일본은행의 미온적인 통화긴축과 견고한 강달러를 원인으로 지목한다. 이런 가운데 시장의 눈은 일본 금융당국의 실개입 여부에 쏠리고 있다. 사실상 실개입 외에는 ‘슈퍼 엔저’를 방어할 마땅한 방법이 없어서다.
이마트, 지난해 사상 첫 영업 적자 기록
인력 효율화 위한 첫 전사 희망퇴직 단행
실적부진·이커머스 공세에 휘청이는 이마트
emart_FE_20240326
이마트가 1993년 창사 이후 처음으로 전사 희망퇴직을 받는다. 앞서 폐점을 앞둔 점포 직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한 데 이어 전사적인 인력 효율화에 나선 것이다. 이는 쿠팡, 알리익스프레스 등 이커머스 강자들에 밀려 오프라인 점포의 수익성이 지속 악화하는 상황에서 인력 감축을 통해 비용 절감에 나서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유통 트렌드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이마트의 실적을 견인할 핵심 키로 여겨졌던 온라인 계열사들이 제힘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美 연준, FOMC 회의서 5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 결정
점도표 금리 중간값 4.6%, ‘연내 세 차례 인하’ 시사도
매파에서 비둘기파로 돌아선 이유는 '과잉 긴축' 우려
Fed_info_FE_20240321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5.25∼5.5%로 동결했다. 지난해 9월, 11월, 12월과 올해 1월에 이어 5연속 동결이다. 함께 제시한 점도표에서는 올 연말 금리를 4.5~4.75%로 제시했다. 현재 금리를 정점이라 가정했을 때 세 차례 인하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는 연준이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과잉 긴축' 가능성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7년 만에 금리 인상, 마이너스 금리 정책 8년 만에 해제
대규모 금융 완화 3축 정책도 모두 해제, '역사적 전환점'
일본 기준금리 오르면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충격 우려
YEN_FE_20240320
일본은행(BOJ)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하고 17년 만에 금리 인상를 인상했다. 또한 상장지수펀드(ETF) 등 위험자산을 사들이는 제도를 중단하고, 장기 금리를 억제하기 위해 단행했던 무제한 국채 매입 정책도 폐지했다. '잃어버린 30년'을 되찾기 위해 돈 풀기를 고수해 오던 일본의 금융 정책이 대대적인 변화를 맞이한 것이다.
주요국 기준 금리 결정 몰린 통화정책회의, '슈퍼위크' 
美, 6월 금리 인하 예상했지만 물가상승에 부담 커져
日, 마이너스 금리 해제 선언 및 금리 인상 가능성↑
bank_FE_202403192
전 세계 경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20여 개국 중앙은행들이 동시다발적으로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슈퍼위크가 열렸다. 주요국 통화정책의 변곡점이 가까워졌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특히 미국과 일본 중앙은행이 통화정책 사이클 전환에 대한 계획을 공개할 예정이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금융당국, 온투업 규제 완화에 속도 낸다
온투업계 대출 규모 지속적 '감소' 추세
규제 개선 수혜, 상위 온투사에 돌아간다 지적도
P2P-FE_20240318
금융당국이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온투업· P2P) 규제 완화를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온투업이란 온라인을 통해 대출과 투자를 연결해 주는 금융업으로, 투자자가 온투업 플랫폼에 투자하면 이를 온투사들이 대출 수요자들과 연결해 빌려준다. 올해 초 그간 온투사들이 숙원사업으로 꼽았던 기관투자의 길이 열리면서 희망 섞인 기대가 나왔으나, 업계는 여전히 제대로 날개를 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지난달 규제특례 범위 초안을 마련한 금융위원회는 이달 내 세부방안을 확정지을 계획이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일부 상위 업체만 수혜를 입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