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저축은행업계, PF 리스크에 연체율·부실채권↑
‘적자 늪’에 빠진 저축은행 연일 악화일로
업계 "M&A 규제 완화로 퇴로 열어달라"
SAVINGS_BANK_deficit_FE_001_20240530

국내 79개 저축은행이 대출을 내주고 돌려받기 어렵다고 판단한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이 1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 전체 연체율은 10여 년 만에 처음으로 9%에 육박했다. 고금리 장기화와 이에 따른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의 직격탄을 맞은 영향이다. 이런 가운데 올해 저축은행 적자 규모가 2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온다.

일반은행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 10년 來 최고
벼랑 끝 다중채무자들, 문턱 낮은 카드 대출로 몰려
지배구조 정점에 선 농협중앙회, 기타비상무이사도 중앙회 인사
올해만 금융사고 3건, 농협 특유의 지배구조가 사고 원인 됐나
압박 더하는 금융당국, 농협 지배구조 개선 작업 본격화
NHbank_financial_authorities_FE_20240528

농협에서 연달아 금융사고가 발생하면서 금융당국 차원에서도 농협 지배구조 개선에 칼을 빼 들었다. 농협금융과 농협은행에 대한 수시검사를 정기검사로 전환하는 등 압박도 거세졌다. 아직 구체적인 방향성은 확정된 바가 없으나 당국의 개선 의지가 강력한 만큼 농협 입장에서도 더 이상 현 지배구조를 유지하기는 어려우리란 평가가 나온다.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 5배 증가, 케이뱅크 외형성장 가시화
케이뱅크 IPO 염원 이루나, "실적 좋은 데다 IPO 시장도 상승기"
우리은행은 '후일 찾기', "사실상 케이뱅크 상장 성공 전제로 둔 듯"
K-bank_netprofit_FE_20240528

케이뱅크가 올 1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금리 및 상품 혜택 강화, 안전자산 중심의 포트폴리오 강화 등으로 경쟁력을 높인 결과다. 이에 일각에선 1분기 실적이 케이뱅크의 IPO(기업공개) 도전에 분수령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우리은행이 케이뱅크 상장 성공을 전제로 인터넷은행 '갈아타기'를 타진하는 가운데 케이뱅크의 IPO 염원이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상호금융권 수신 잔액, 1개월 만에 8조7,695억원 증가
고금리 상품으로 소비자 수요 끌어모아, 지방 노령층 '정조준'
잇따르는 상호금융권 내 금융 사고, 원인은 어디에
Mutual-Banking_20240524

농·수·신협 등 상호금융권에 '뭉칫돈'이 흘러 들어가고 있다. 시장 금리 상승세가 꺾이며 시중은행 예·적금 금리가 하락하는 가운데, 보다 높은 금리를 찾는 소비자들의 수요가 상호금융으로 이동한 결과다. 상호금융권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공격적으로 오프라인 점포를 확대, 소비자 수요에 적극 대응하는 양상이다.

지난해 5대 시중은행서만 금융사고 36건 발생
제도 손질 나선 당국, 내년부터 '책무구조도' 본격 도입
배임 사고 잇따르는 NH농협, 지배 구조 논란 수면 위로
BANK_20240524

최근 수년 사이 은행권 내에서 발생한 금융사고가 줄줄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시중은행에서 수십 건의 금융사고가 발생한 데 이어, 올해에는 NH농협은행에서만 3건의 금융사고 발생 사실이 공개됐다. 연이은 사고로 금융권 내 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은 은행들의 내부 통제 구조에 대한 본격적인 경각심을 표출하고 나섰다.

기존 시중은행과 경쟁 위해선 자본 확충 선행돼야
DGB 자본여력으로는 한계, 유증 통해 7천억원 수혈
업계 "삼성이 증자 참여해도 큰 도움은 안 될 것"
dgb_20240523_002

DGB대구은행이 시중은행 전환 인가를 받으면서 '전국구' 기업대출 경쟁에 도전장을 던졌지만, 업계는 대구은행이 시중은행과 맞붙기 위해서는 조달 경쟁력을 먼저 갖춰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대출 경쟁이 심화하고 있어 금리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대주주인 DGB금융의 현재 보통주자본(CET1) 비율과 이중레버리지비율을 고려할 때 출자를 대폭 늘릴 수 있는 처지가 아닌 만큼 단기간 내 경쟁력을 확보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우리금융, 롯데손보 인수에 미진한 태도
매각가 지나치게 높다, 1.8조원 예상
롯데손보의 1.9%대 점유율도 문제
WOORI_FE_20240520
사진=우리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가 롯데손해보험 인수전에 참전을 선언하며 비은행 포트폴리오 강화에 나서면서도 "오버페이는 없다"고 밝힌 데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4대 금융지주 가운데 유일하게 보험 계열사가 없는 우리금융이 '급하지 않다'는 입장을 취하는 배경에 롯데손보의 낮은 시장 입지가 작용했으리란 분석이 나온다.

올해 1분기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 8.8%, 지방은 더 심각
금감원, 자본조달계획 마련 주문 및 NPL 매각 채널 확대
7번째 시중은행 인가, 32년 만에 새 시중은행 탄생
금융위, 은행권 경쟁 촉진해 독과점 개선효과 기대
인터넷銀·지방銀 장점 결합, 중금리 대출시장 공략
dgb_20240515

대구·경북권을 거점으로 하는 지방은행인 DGB대구은행이 '전국구'를 영업 단위로 하는 시중은행으로 전환한다. 1992년 평화은행 인가 이후 32년 만에 새로운 시중은행의 출범이자 신한·우리·하나·한국씨티·KB국민·SC제일은행에 이은 7번째 시중은행이다. 지난해부터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독과점 체제를 개선하기 위해 신규 은행 인가를 추진해 왔다. 대구은행이 중금리 대출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만큼 신용 리스크 관리가 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토스뱅크·광주은행 첫 공동대출 상품 선 보여
토스서 대출 신청 시 양사 분담 비율로 집행
금리 부담 완화 및 시중銀 과점구조 개선 기대
toss_bb_FE_20240516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와 지방은행 광주은행이 공동으로 개발한 금융상품이 첫선을 보일 전망이다. 토스뱅크의 모객력과 광주은행의 자금력이 결합된 형태로 운영될 예정으로, 업계에서는 5대 시중은행에 집중된 은행업 과점 구조를 완화하는 시발탄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2013년 JB금융그룹 '서남권 최초의 금융지주사'로 출범
2014년 더커자산운용 인수 후 종합자산운용사 전환 타진
정량 기준 모두 충족하지만 'JB 호주NDIS펀드' 등 걸림돌
CET1_20240515

2014년 출범한 JB자산운용이 종합자산운용사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변수는 남아 있다. 현재 운용하는 펀드 규모 등 정량적 기준은 모두 충족했지만 2019년 발생한 'JB 호주NDIS펀드' 이슈 등 법정 분쟁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대구銀 '대출 확대 전략' 1분기 대출자산 9% 증가
모회사 DGB금융, 직전 분기 대비 CET1 11.6%↑
주주환원 확대도 과제, 은행·지주사 간 엇박자 우려
DGB_20240515

DGB대구은행이 시중은행 전환을 앞두고 대출자산을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모회사인 DGB금융지주의 보통주자본(CET1)비율이 11% 초반대로 하락하면서 걸림돌이 되고 있다. 여기에 DGB금융지주는 '주주환원 확대'라는 숙제까지 안고 있어 은행의 대출 확대 전략이 그룹의 자본 정책과 엇박자를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케이뱅크 분기 당기순이익 전년비 4.88배 급증, 대환대출 인프라 강화 영향
올 초 IPO 재추진 공식화한 케이뱅크, 체급 올리며 'IPO 호재' 현실화하나
카카오뱅크도 '문전성시', 시중은행 대비 낮은 대출 금리가 흥행 주도
KBANK_FE_20240514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카카오뱅크 역시 같은 기간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는 등 인터넷은행 전반이 실적 호조세를 나타내는 모양새다. 지난해 금융당국이 금융소비자의 이자비용 절감을 위해 대환대출 인프라를 구축한 것이 인터넷은행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부동산 PF 리스크로 신음하는 OK금융그룹 계열사
OK캐피탈, OK저축은행 등 충당금 부담 커져
실적 악화 기조 본격화, 정부는 "더 쌓아라" 압박
ok_bank_20240513

'종합금융그룹 도약'을 노리는 OK금융그룹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에 발목을 잡혔다. 증권업 진출에 활용해야 할 자금이 부동산 PF 대출 충당금 적립을 위해 쓰이면서다. 이어지는 금융당국의 압박으로 충당금 부담이 확대될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업계에서는 OK금융그룹 산하 업체들의 부실 위기가 한층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금감원, 농협금융 정기검사 착수 예정, 내부통제·지배구조 중점
투자증권 인선 놓고 '중앙회-금융지주' 갈등, 해묵은 문제 재부상
카카오뱅크, 올 1분기 역대 최대 실적
주택담보대출 점유율 확대 영향 주효
3대 지방금융지주 CET1 비율, JB·BNK·DGB 순
시중은행 전환 앞둔 DGB의 CET1 비율 가장 낮아
KB금융 13.4%로 업계 최고 "견고한 이익 체력 덕분"
CET1_FE_20240507

보통주자본(CET1) 비율 관리 역량에 따라 3대 지방금융지주의 주주환원정책 운신 폭이 갈릴 것으로 전망된다. CET1 비율은 주주환원책 기준으로 삼는 자본건전성 지표로 금융당국의 규제 비율은 7%지만, 권고치는 12~13% 수준이다. 3대 지방금융지주 중에선 DGB금융이 11%대로 가장 낮아 주주환원 관련 적극성도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부동산 PF 쏠림 심화, 저축은행 연체율 급등
지방 저축은행 상황 더 열악, 연체율 최고 8%대
다시 고개 드는 경공매 의무화, 그 이유는
exposure_FE_20240503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기가 갈수록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지방저축은행의 연체율이 8%대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율이 위험수위에 오르면서 신용평가사들은 저축은행 신용등급을 줄줄이 강등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 PF 사업장 경공매 활성화에 난색하고 표하던 저축은행들도 금융당국의 강한 건전성 압박까지 이어지자 고민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PF 충당금에 '직격타', DGB금융 올 1분기 순이익 29.33% 감소 전망
정상화 방안으로 '인센티브' 내건 금융당국, 정작 은행권은 "인수 압박 아니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