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연 4회 동결 태세 유지
파월 "인플레이션 등 변수 고려해 결정해야"
트럼프 "연준에 멍청한 사람 있어" 비난 태세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지난 1월과 3월, 5월에 이은 4회 연속 동결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계속되는 압박에도 끄떡하지 않고 여전히 '마이웨이'를 선택한 것이다.
中 정유업계, 이란-이스라엘 교전에 '긴장'
인프라 투자·군사 협력 노력도 증발 위기
"국제유가 잠잠하네" 서방국 피해 예상 밑돌아
이스라엘과 이란의 교전이 중국에 막대한 피해를 안길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향후 이스라엘이 이란의 석유 인프라를 공격할 경우, 이란산 원유의 핵심 수출처인 중국 정유사들이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신동아 등 중견 11곳 법정관리 신청
PF 위축·지방 미분양·공사비 상승 영향
실업률 증가·후방산업 전이 등 악순환
종합건설사가 하루에 1.8곳씩 문을 닫고 있다. 역대 최악이라던 지난해 수준을 훌쩍 뛰어넘었다. 급등한 공사비를 감당하기 힘든 상황에서 지방에 악성 미분양이 쌓여 가고 건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돈줄이 막혔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M&A, 규제 완화에도 '지지부진'
OK금융, 두 저축은행 동시 인수 '구원투수' 자처
금융당국 추진 구조조정에 선제적 대응 의지
저축은행업계 구조조정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OK금융그룹이 상상인저축은행과 페퍼저축은행의 동시 인수를 추진하며 구원투수로 나설 전망이다. 현재 OK금융은 두 저축은행 모두를 인수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저축은행 M&A, 규제 완화에도 '지지부진'
OK금융, 두 저축은행 동시 인수 '구원투수' 자처
금융당국 추진 구조조정에 선제적 대응 의지
저축은행업계 구조조정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OK금융그룹이 상상인저축은행과 페퍼저축은행의 동시 인수를 추진하며 구원투수로 나설 전망이다. 현재 OK금융은 두 저축은행 모두를 인수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트럼프 리스크, 달러 위기 불씨 되나
예측불허 관세 정책, 글로벌 금융시장 '혼란'
"달러 위기 발생시점 앞당겨" 로고프 교수 경고
해외 수출 기업들이 미국의 수입 업체들에 달러화가 아닌 자국 통화로 결제할 것을 요청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등 국제 거래에서 달러를 기피하는 현상이 확산하고 있다.
외식 품목 30개, 5년새 가격 20% 이상 올라
"재택근무 할 땐 걱정 없었는데" 식비 부담에 짓눌리는 직장인들
편의점·구내식당 등에 식사 수요 몰려
최근 5년 사이 먹거리 물가가 대폭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외식 품목 대부분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런치플레이션'(런치+인플레이션·점심값 상승) 현상이 눈에 띄게 심화하는 양상이다.
부메랑으로 돌아올 민간부채
절반이 부동산, 금리 인하 발목
성장 떨어뜨리고 내수 부진 가속화
우리나라 국민의 가계부채가 소득보다 약 1.7배 높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즉, 빚 갚는 데 쓰는 돈이 늘었다는 것이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등을 겪고도 구조개혁을 통한 ‘부채 다이어트’ 없이 부동산으로 자금 쏠림이 지속된 탓이 크다. 이 같은 가계대출 증가는 부동산 거품만 일게 할 뿐 장기적으론 독약이나 다름없다.
부메랑으로 돌아올 민간부채
절반이 부동산, 금리 인하 발목
성장 떨어뜨리고 내수 부진 가속화
우리나라 국민의 가계부채가 소득보다 약 1.7배 높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즉, 빚 갚는 데 쓰는 돈이 늘었다는 것이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등을 겪고도 구조개혁을 통한 ‘부채 다이어트’ 없이 부동산으로 자금 쏠림이 지속된 탓이 크다. 이 같은 가계대출 증가는 부동산 거품만 일게 할 뿐 장기적으론 독약이나 다름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