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독배 마신 프레시지, 최대주주 앵커PE도 카카오 사법 리스크에 ‘외줄 타기’

무리한 M&A로 '몸집 불리기' 나섰지만, 영업손실만 대폭 늘어나
작년 말 프레시지 영업권 '0원', "사실상 언제 망해도 이상하지 않아"
최대주주 앵커PE도 위기 맞았다, "프레시지에 위기 확산 가능성"
fresheasy_broken_FE_20240523

2021년부터 인수합병(M&A)을 통해 몸집을 불려 온 프레시지가 해당 종속회사들의 영업권을 모두 손상차손했다. 영업권은 다른 회사를 인수하거나 합병하는 과정에서 그 회사의 순자산 가치보다 더 지급한 일종의 ‘웃돈’을 뜻한다. 결국 무리한 M&A를 이어가다 실적 악화를 면치 못하게 된 셈이다.

팬데믹 업고 성장한 프레시지, M&A로 미끄러지나

2016년 설립된 프레시지는 국내 밀키트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집에서 끼니를 해결하는 가족 및 1인 가구가 급증하면서 높은 성장세를 이룬 영향이다. 2018년 218억원이던 매출액도 2021년 1,993억원으로 연평균 109%씩 증가했다.

팬데믹 상황을 기반으로 시장 안착에 성공한 프레시지는 2021년부터 M&A를 통해 부쩍 몸집을 불리기 시작했다.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시장 진출을 통해 매출처를 다각화하고 매출의 대부분이 기업 간 거래(B2B)에서 발생하는 사업구조를 변경해 수익성을 제고하겠단 취지였다.

프레시지는 2021년 라인물류시스템(지분율 72.48%)을 시작으로 2022년 ▲닥터키친(100%) ▲허닭(100%) ▲테이스티나인(100%)를 사들였다. 이들 회사 매입에 들인 자금만 2,471억원에 달한다. 순자산가치가 총 403억원에 불과한 이들 4개 기업을 2,068억원의 웃돈(영업권)을 얹어 매입하기도 했다. 이 덕에 프레시지의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5.8%(1,993억원→5,298억원) 급증했다.

문제는 인수회사들이 프레시지의 수익성 제고에 큰 효용이 없었단 점이다. M&A를 마친 직후인 2022년에 프레시지는 1,10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2021년 529억원 대비 109% 증가한 수치다. 이후 프레시지는 당해 711억원의 영업권을 손상차손으로 처리했다. 같은 해 305억원의 영업권을 상각 처리하기도 했으며, 나아가 2023년에도 프레시지와 자회사의 실적이 하락하며 잔여 영업권 1,072억원을 손상차손 820억원, PPA 상각 252억원으로 모두 처리했다.

그 결과 지난해 말 프레시지의 영업권은 0원으로 계상됐다. 상적으로 인수한 기업이 적자경영으로 인해 향후 현금흐름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되면 그만큼 영업권에 손상차손을 반영한다. 즉 프레시지는 자회사들의 사업 경쟁력이 낮다고 판단했던 셈이다. 결국 프레시지의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3,306억원으로 전년 대비 37.6% 주저앉았고, 영업손실은 999억원에 달하게 됐다. 시장에서 프레시지에 대해 “사실상 언제 망해도 이상하지 않은 기업”이라는 평가를 내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최대주주로 PEF, 결국 IPO 포기

최대주주가 사모펀드(PEF)로 바뀌면서 프레시지의 성장세가 거의 꺾인 것도 문제다. 앞서 지난 2020년 10월 홍콩계 PEF 앵커에쿼티파트너스(앵커PE)는 프레시지 지분을 인수하기로 하고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 구주 일부와 신주를 약 3,000억원에 사들였다. 앵커PE가 프레시지의 최대주주가 된 건 이 시점이다.

통상 PEF는 투자 시점으로부터 5년 이내에 자금회수(엑시트)에 나서는데, 이 경우 상장보단 매각을 선호하는 성향이 강하다. 매각은 자금 회수를 위한 절차가 상대적으로 간단해 IPO보다 시간이 적게 걸리기 때문이다. 실제 프레시지도 앵커PE를 최대주주로 받아들인 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IPO 계획을 접었다. 사실상 성장 가능성을 닫은 것이다.

이에 대해 한 업계 관계자는 “PEF의 경우 ‘언젠가 털고 나간다’는 식으로 수익만 내는데 급급하다는 이미지가 굳어져 이들이 최대주주로 있는 기업의 IPO가 갈수록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프레시지가 IPO 계획을 없던 일로 한 것도 PEF가 최대주주로 바뀌면서 IPO에 따른 여러 리스크를 감안해 내린 결정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kakao_SM_prosecutor_FE_20240523

앵커PE도 위기 직면, 카카오 사법 리스크가 ‘직격타’

다만 최대주주 앵커PE도 상황이 좋지만은 않다. 컬리, 카카오엔터테인먼트(카카오엔터) 등 한국 주력 포트폴리오의 불안정성이 높아진 탓이다. 앞서 앵커PE는 지난 2021년 컬리에 프리 IPO(상장 전 지분투자)로 2,500억원을 투입하면서 컬리의 기업가치를 4조원으로 책정했다. 그러나 이후 컬리가 IPO에 실패하고 사업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실질적인 기업가치가 1조원 내외로 급락했다. 컬리의 자금 압박이 커지자 앵커PE는 1,000억원을 추가 투입하는 등 자구책을 마련했으나, 여전히 컬리는 부진한 상황을 벗지 못하면서 아픈 손가락으로 남게 됐다.

그나마 앵커PE를 살릴 곳이란 평가를 받던 카카오엔터도 최근 사법 리스크에 빠지면서 회수 전망이 불투명해졌다. 법조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SM엔터테인먼트 인수전에서 시세조종에 나섰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에 서울남부지법은 지난해 말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고, 금융감독원은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 센터장에게 소환을 통보하기도 했다.

앵커PE의 위기는 이후로도 더욱 확산할 전망이다. 카카오에 대한 사법 리스크가 어떻게 번져나갈지 확신할 수 없어 소수 지분 매각 길이 가로막혔기 때문이다. 이렇다 보니 업계에선 최대주주가 흔들림에 따라 프레시지 또한 위기를 피해 가기 어려우리란 평가가 나온다. 양사가 사후대처를 위해 어떤 출구전략을 내놓을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