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몸값’ 줄다리기 끝에 결국 롯데손보 입찰 포기

가격협상 과정에서 이견 좁히지 못해 결국 인수 불발
우리금융, 롯데손보 대신 동양·ABL생명 인수 급선회
롯데손보, 외국계 투자자와 가격 협상에서 불리해져
news p.v woori 001 20240628
우리은행 본사/사진=우리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가 비은행 포트폴리오 확대 작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던 롯데손해보험 인수전에서 철수했다. 가격협상 과정에서 2조원대를 희망하는 JKL파트너스와 오버페이는 하지 않겠다는 우리금융 간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결국 우리금융은 동양·ABL생명 인수로 선회했다.

롯데손보 인수戰, 외국계 투자사 1~2곳만 참여

28일 우리금융은 “비은행 경쟁력 강화 방안의 일환으로 롯데손해보험 지분 인수를 검토했으나, 인수를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고 공시했다. 또 다른 인수 후보로 거론됐던 하나금융그룹도 본입찰에 불참했다. 결국 이날 롯데손보 매각 주관사인 JP모건 주도로 진행된 본입찰에는 국내 기업이 아닌 외국계 투자자 1~2곳만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업계에서는 지난 4월 롯데손보의 공개 매각 예비입찰 후 실사까지 진행했던 우리금융이 가격 측면에서 부담을 느끼고 입찰을 포기한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금융은 롯데손보 인수에 나서겠다고 공식화했을 때부터 ‘오버페이는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강조해 왔다. 실제 우리금융이 인수 대금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자금도 제한적이었을 것이란 분석이다.

시장에서는 롯데손보가 2조원대 매각가를 어필했지만, 우리금융은 그보다 낮은 인수 가격을 고수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우리금융은 지난 26일 롯데손보 대신 동양생명·ABL생명의 패키지 인수로 방향을 급선회했다. 동양·ABL생명 인수와 관련해 우리금융은 “구체적인 내용이 결정되면 1개월 이내에 재공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woori 20240628
6월 28일 우리은행 전자공시시스템에 올라온 롯데손보 인수 관련 게시물/출처=전자공시시스템(DART)

MG손보 등 보험시장 ‘잠재적 매각 대상’만 6곳

당초 시장에서는 롯데손보 사전입찰에 참여한 우리금융이 지난 26일 동양·ABL생명 인수전 참여를 공식화한 것을 두고 몸값을 낮추기 위한 협상전략으로 봤다. 양측의 경쟁을 통해 매물을 저렴하게 인수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실제 롯데손보, 동양생명, ABL생명 3개 기업의 몸값은 보수적으로 잡아도 4조원에 육박하는데 이는 우리금융이 지급할 수 있는 인수 대금을 뛰어넘는 규모다.

지난해 우리금융이 밝힌 자금 여력은 1조8,000억원으로 여기에 올해 신종자본증권 발행으로 8,000억원을 추가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보험사 인수에 따른 RWA(위험가중자산) 증가나 자본조정, 인수 가격에 따른 염가 매수 차익, 목표 CET1(보통주 자본 비율) 등을 감안하면 우리금융이 보험사 인수에 투입할 수 있는 자금은 최대 3조원 이내로 추정된다.

이런 협상전략은 여전히 유효하다. 현재 보험업계의 잠재적 매각 대상만 6곳에 이른다. 일례로 현재 금융위원회 주도로 세 번째 매각 작업이 진행 중인 MG손해보험이 있다. 금융당국으로부터 매각 작업을 위탁받은 예금보험공사는 다음 달 5일 본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두 차례와 달리 이번 매각은 인수합병(M&A)뿐 아니라 자산부채이전(P&A) 방식도 열어둬 업계의 기대감이 높다.

M&A 최대어 롯데손보, 매각 시기 조율 가능성도

한편 올해 손해보험 M&A 대어로 꼽혀온 롯데손보는 유력 후보로 점쳤던 우리금융의 철수로 암초를 만났다. 최대 주주인 JKL파트너스는 갑작스러운 우리금융의 변심에 조 단위 인수전의 동력을 상실하면서 당혹스러운 분위기다. 딜 클로징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이날 롯데손보의 주가는 23.6% 급락했다.

외국계 투자자들이 본입찰에 참여한 만큼 절차는 진행될 예정이지만 우리금융의 불참이 향후 가격 협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롯데손보가 지난해 당기순이익 3,000억원을 돌파하는 등 여전히 매력적인 매물임을 감안할 때 급하게 매각하기보다는 매각가를 제대로 받을 수 있는 시기에 재도전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딜 성사를 위해서는 JKL파트너스가 가격 눈높이를 낮출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롯데손보의 시가총액이 1조원 수준임을 감안할 때, JKL파트너스가 요구하는 2조원대는 경영권 프리미엄을 가산하더라도 과도하다는 의견이 많다. 지난 2019년 당시 JKL파트너스가 롯데손보를 인수할 당시 투자금은 총 7,300억원으로 현재 지분가치는 9,625억원이다.